[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미국 하원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감세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22일(현지시간) 미 증시와 국채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법안이 상원을 통과할 경우 향후 10년간 연방정부 재정적자는 2조5000억 달러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미 국채와 달러화 등 미 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이 동시다발적으로 증폭되는 양상이다.
트럼프 감세안 하원 통과 소식에 일제히 하락하던 미 주가지수 선물 가격은 뉴욕 증시 개장을 앞두고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미 동부시간 오전 9시 20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E-미니 다우 선물은 전장 대비 64.00포인트(0.15%) 하락한 4만1,883.00에 거래 중이다. 반면 S&P500 선물은 1.25포인트(0.02%) 오른 5,862.50, 나스닥100 선물은 52.25포인트(0.25%) 오른 2만1,212.25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3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날에 이어 또 다시 급등하며 2023년 10월 이후 최고치인 5.1%를 기록했다. 기준물인 10년물도 4.6%를 상회했다. 미 의회예산국(CBO)은 이번 법안이 시행될 경우, 현재 36.2조 달러에 달하는 미국의 연방 부채가 10년 안에 40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트럼프의 '하나의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은 팁 소득과 자동차 대출 이자에 대한 세금 공제, 국방비 지출 확대 등을 골자로 한다. 하원에서는 공화당 단독으로 통과됐으며, 현재 공화당이 다수당인 상원에서 심의를 앞두고 있다.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의 포퓰리즘 경제 의제를 대부분 담고 있으며, 통과 시 정치적 승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 증시도 흔들… S&P 500 이번 주 2% 하락
전일 뉴욕 증시는 1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다우지수는 800포인트 넘게 하락했고, S&P 500은 1.6% 떨어졌다. 20년물 국채 입찰이 부진했던 것이 수익률 급등과 주가 급락에 불을 붙였다. 시장에서는 "이번 감세 법안이 상원까지 통과해 실제 시행된다면 국채 수요가 더 줄고, 수익률은 더 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찰스슈왑의 수석 전략가 케빈 고든은 CNBC에 "이번 국채 수익률 급등은 절대적인 수치보다 변화 속도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진단했다.
◆ 개별 종목도 희비… 반도체·클라우드 강세, 태양광·보험주는 약세
개별 종목 흐름은 뚜렷한 양극화가 나타났다. 태양광 업체인 ▲퍼스트솔라(FSLR)는 트럼프의 감세안에 포함된 친환경 에너지 보조금 폐지 조항 여파로 개장 전 1% 넘게 하락하고 있다. ▲유나이티드헬스(UNH)는 전일 6% 하락에 이어 이날도 3.3% 추가 하락했다.
반면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 ▲스노우플레이크(SNOW)는 2026년 제품 매출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3% 급등했다. 반도체 업체 ▲아날로그디바이스(ADI)도 2분기 실적 호조에 3% 넘게 상승했다.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이에 따라 ▲코인베이스(COIN)는 2.6%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는 2.1% ▲마라톤디지털(MARA)은 5% 넘게 상승했다.
한편, S&P 500 지수는 4월 저점 대비 15% 이상 반등했으며, 미국과 중국 간 일시적 관세 완화와 완만한 물가 상승세가 최근 주가 랠리를 견인한 바 있다. 다만 현재 지수는 여전히 사상 최고치 대비 3% 가량 낮은 수준이다.
이날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를 비롯한 연준 인사들의 발언이 예정돼 있으며, 5월 S&P글로벌 제조업 및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 발표도 예정돼 있다.
금융시장에서는 현재 연내 기준금리 2차례 인하 가능성이 반영되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법안이 상원을 통과하고 재정 지출이 현실화할 경우, 연준이 인하에 나설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커지고 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