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도전과 기적, 몬트리올에서 여는 전북의 미래

2025-09-01

캐나다 몬트리올은 대한민국에 특별한 의미를 지닌 도시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레슬링 양정모 선수가 금메달을 목에 걸며 건국 이후 첫 올림픽 금메달을 안겼다. 국민 모두가 느낀 그 벅찬 감동은 ‘도전과 기적의 땅’이라는 상징적 기억으로 남아 있다. 이제 그 기억은 전북특별자치도가 걸어가는 과학기술 혁신의 길과 맞닿아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 과학기술 협력에 적극 나서고 있다. 최근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한·캐나다 과학기술학술대회(CKC: Canada-Korea Conference)에 도내 주요 연구기관과 대학, 혁신 주체들이 대거 참여했다. CKC는 인공지능, 양자기술, 항공우주, 에너지, 바이오 등 글로벌 핵심기술 협력을 논의하는 세계적 학술무대로, 양국 연구자들이 활발히 교류하며 공동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장이다. 전북은 이번 무대에서 신재생에너지, 바이오, 항공우주·방산, AI 응용 등 20여 건의 공동연구 과제를 제안하며 국제사회와 보폭을 맞췄다.

특히 전북은 대한민국 수소경제의 심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새만금은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완주에는 ‘수소특화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기반 위에 캐나다의 클린에너지 기술이 결합된다면 생산·저장·운송·활용을 아우르는 전주기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협력 차원을 넘어 글로벌 수소 산업을 선도하는 든든한 토대가 될 것이다.

바이오 분야 또한 기대가 크다. 전북은 풍부한 농생명 자원과 우수한 연구 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캐나다의 선진 기술과 경험이 더해진다면 농생명·의료·헬스케어를 아우르는 융합형 바이오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북은 ‘글로벌 생명경제 혁신거점’으로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다.

또한 항공우주와 방위산업은 캐나다가 강점을 지닌 동시에 전북이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분야다. 캐나다의 첨단 기술력과 전북의 소재·부품 제조 역량이 결합된다면 단순한 기술 교류를 넘어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이는 전북이 국가 전략산업의 핵심 지역으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

이 모든 산업혁신의 교차점에는 인공지능(AI)이 있다. 캐나다는 세계 3대 AI 연구소 중 하나인 MILA(딥러닝 인공지능 연구소)를 비롯해 AMII(앨버타 인공지능 연구소), 벡터연구소(인공지능 연구기관) 등 세계적 연구기관을 보유한 AI 강국이다. 전북 또한 농기계·건설기계 산업의 허브로서 다품종 소량생산 공정에 ‘피지컬 AI’를 접목할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으며, 2030년까지 실증단지 구축을 추진 중이다. 이번 CKC에서 전북 연구기관들은 몬트리올의 AI 연구기관 IVADO(몬트리올 인공지능 연구기관)와 공동 세션을 열어, 양 지역이 보유한 연구성과와 역량을 공유하고 국제 협력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번 교류는 단순한 만남을 넘어 양국의 강점이 결합된 국제 공동연구 플랫폼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는 초격차 기술 확보로 이어지는 상생 협력 모델의 초석이며, 전북이 글로벌 기술혁신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길을 열 것이다.

몬트리올에서 시작된 ‘도전과 기적’은 이제 과학기술 시대 전북에서 다시 쓰이고 있다. 과거 올림픽 무대에서 울려 퍼졌던 승리의 함성이, 오늘날에는 과학기술 혁신을 향한 힘찬 발걸음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규택 전북테크노파크 원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전과 기적 #몬트리올 #전북의 미래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