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창] 지금은 글로벌 단기 하이일드 전략을 활용할 때

2025-04-29

‘정크 본드(Junk bonds)’로 불리며 위험 자산으로 여겨졌던 하이일드 채권이 최근에는 안정성과 수익성을 겸비한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과거 대비 신용등급이 많이 개선된 영향이다. 지난해 말 기준 유럽의 하이일드 채권 시장에서는 가장 높은 BB등급의 비중이 66%를 차지했으며, 미국에서도 하이일드 채권의 50% 이상이 BB등급을 받았다.

신용등급 외에도 부채 비율, 이자 보상 비율 등 다양한 신용 지표들이 전반적으로 좋아졌다. 같은 기간 미국 하이일드 채권의 디폴트(채무불이행) 비율은 1.5%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 전체 평균치인 3.4%를 크게 밑돈다. 투자 위험도도 낮아졌다. 10년 전만 해도 개인 투자자들이 주도했던 하이일드 채권 시장은 변동성이 높다는 단점이 존재했지만 오늘날에는 기관 투자가의 장기 투자 자금 비중이 높아지며 안정성이 높아졌다.

현재 투자 환경은 하이일드 투자자에게 매우 유리한 상황이다. 미국과 유럽의 중앙은행들이 경제 성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으며, 기업 실적도 전반적으로 기대치를 상회하고 있다. 특히 작년에 기업들이 채권 시장에 대거 복귀하면서 수요가 급증한 영향으로 채권 이자율도 상승했다.

지금은 하이일드 채권시장 내에서도 ‘글로벌 단기 하이일드 전략’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시점이다. 해당 전략은 전 세계를 투자 대상으로 하면서 특정 인덱스를 따르지 않고, 2년 이내에 원금 상환이 가능한 채권에 집중한다, 투자 범위가 넓은 덕에 전 세계 시장 전반에서 기회를 포착할 수 있으며, 인덱스를 따르지 않아 선택적이고 유연한 운용이 가능하다. 또 2년이라는 짧은 투자 기간으로 현금 흐름 예측이 용이해 불확실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빠른 회복력을 기대할 수 있다.

하이일드 기업은 보통 성장 전략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일정한 성장 단계에 도달하면 자금을 미리 확보하기 위해 리파이낸싱(기부채 상환을 위해 다시 자금을 조달)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과정에서 조기 상환에 따른 프리미엄은 투자자에게 추가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시장 금리에 큰 변화가 없다면 장기적으로 복리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셈이다.

하이일드 채권 투자로 안정적인 성과를 지속적으로 올리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투자 원칙과 탄탄한 결정 프로세스가 중요하다. 가령 실적 기간이 너무 짧은 기업이나 자산 기반이 약한 기업을 배제하거나 CCC등급 채권에는 기본적으로 투자를 하지 않는다는 식으로 자신만의 투자 기준을 세울 수 있다.

하이일드 채권이 고위험 자산이라는 인식은 이제 구시대적인 편견에 가깝다. 특히 단기 하이일드 전략은 그러한 고정관념을 깨는 대표적인 사례다. 철저한 분석과 리스크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투자 환경을 갖춘 글로벌 단기 하이일드 전략은 지금과 같은 시장 환경에서 충분히 고려해볼 만한 투자 대안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