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말말말' 페이지 출시
AI-기자 협업 통한 즉시 속보 생산
6개 분야 구분해 시장 영향 세분화
AI 종목 추적기 긍정·부정 영향 분석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말 한마디'가 글로벌 증시 전체를 흔드는 '핵심 변수(Key Variable)'가 되고 있다. 그의 발언이 가진 엄청난 시장 파급력과 즉각적인 변동성은 투자자들에게 가장 큰 불확실성으로 작용한다.
뉴스핌은 즉각적인 이슈 추적 서비스인 '타임라인 뉴스' 섹션을 통해, 불확실한 '정치적 발언'을 즉각적인 '투자 정보'로 변환하는 혁신적인 AI 서비스를 18일 공개했다.
이 서비스의 첫 번째 강점은 'AI-기자 협업'을 통한 신속한 속보 생산이다. AI를 활용해 담당 기자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주요 발언을 포착한 뒤, AI가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신속하게 사실관계를 검증하고 기사를 협업·생산한다. 이를 통해 발언의 파급력이 확산하기 전 투자자들에게 가장 빠른 속보를 전달하면서도, 기자의 전문성을 통한 정확성까지 보장한다.
◆ 6개 분야로 자동 분류... 한국 투자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
관련 기사들은 '타임라인 뉴스'에 바로 올라가는 동시에, '트럼프 말말말' 코너에서 6개 분야로 자동 분류된다. 이 분류 시스템은 투자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분류 체계는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먼저 '국가별'로 찾을 수 있다. 한국과 중국 관련 발언은 별도로 모아둔다. 트럼프가 "한국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언급했든, "한국과 무역 협상"을 논의했든,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를 이야기했든 상관없이 한국 관련 발언은 모두 '한국' 카테고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제별'로도 찾을 수 있다. 경제·금융, 외교·안보·국방, 정치·사법, 기술·혁신 등 4개 분야로 나뉜다. 경제·금융 카테고리에는 관세 정책이나 무역 협상 관련 발언이, 외교·안보·국방에는 군사 동맹이나 국방비 관련 발언이, 기술·혁신에는 반도체나 AI 정책 관련 발언이 모인다.
이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하나의 기사가 여러 카테고리에 동시에 표시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한국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 발언은 '한국' 카테고리에도 나타나고, '외교·안보·국방' 카테고리에도 나타난다. 투자자는 한국 관련 모든 소식을 보고 싶으면 '한국'을, 전 세계 군사·안보 이슈를 보고 싶으면 '외교·안보·국방'을 클릭하면 된다.
한국 투자자 입장에서는 '한국' 카테고리만 보면 경제부터 안보, 기술까지 한국에 영향을 주는 모든 트럼프 발언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반대로 반도체나 AI 관련 투자를 하는 사람은 '기술·혁신' 카테고리를 통해 한국뿐 아니라 중국, 미국, 유럽 등 전 세계 기술 정책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 "승리를 위한 전쟁" 발언, AI가 방산주·빅테크 명암 즉각 분석
이 서비스의 진가는 'AI 종목 추적기'와의 연동에서 나타난다. 이 기능은 트럼프의 '정치적 수사(Rhetoric)'를 '시장 논리(Market Logic)'로 즉각 번역해준다. 기사 상단의 '그래프(돋보기)'를 통해 종목 추적기를 이용할 수 있다.
지난 12일자 '트럼프 "앞으로 승리를 위해서만 전쟁 치르겠다"' 기사는 단순한 재향군인의 날 연설이 아니라, 향후 미국의 군사 정책 방향성을 암시하는 강력한 시그널이다. 뉴스핌의 'AI 종목 추적기'는 이 발언의 파급력을 즉각 분석했다.

AI는 이 발언이 '국방비 지출 확대'라는 직접적 수혜로 이어진다고 판단,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 레이시온(Raytheon Technologies), 노스롭 그루먼(Northrop Grumman), 제너럴 다이내믹스(General Dynamics), 하니웰(Honeywell International) 등 5개의 핵심 방위산업 종목을 '긍정 영향'으로 선별했다. AI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군사 정책과 승리 강조로 국방비 증가 기대가 직접적이며, 방위산업 매출 확대와 신규 무기체계 수주 증가로 수익성 개선이 전망된다"고 분석 이유를 제시했다.
동시에 AI는 '전쟁 리스크'와 '글로벌 긴장 고조'가 야기할 '공급망 불안'과 '투자 위축' 리스크를 즉각 감지했다. 이에 따라 중국 의존도가 높은 애플(Apple), 원자재 가격 변동에 민감한 테슬라(Tesla),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에 노출된 아마존(Amazon), 클라우드 투자 위축이 우려되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JP모건 체이스(JPMorgan Chase) 등 5개 종목을 '부정 영향'으로 분류했다.
애플에 대해서는 '"군사 강경 정책에 따른 글로벌 긴장 심화로 공급망 불안정이 직접적이며, 중국 의존 부품 조달 차질과 생산 비용 상승으로 마진 압박이 예상된다"는 구체적인 분석을 제공했다.
뉴스핌은 이처럼 강력한 '트럼프 발언 추적' 및 'AI 종목 추적기' 기능을 더 많은 투자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자사의 AI 맞춤형 뉴스 서비스인 'AI MY 뉴스'에 무료 가입하는 모든 회원에게 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민병복 뉴스핌 회장은 "트럼프의 발언은 한 줄의 문장이 특정 산업의 희비를 가르고,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뒤흔들 정도의 파급력을 지닌다"며 "투자자가 뉴스핌의 '타임라인 뉴스' 섹션에 접속하고 'AI MY 뉴스'에 무료 가입하는 것만으로, 'AI-기자 협업'을 통한 가장 빠른 속보, '6개 분야별' 체계적인 분류, 'AI가 분석한 긍정·부정 10개 영향 종목'까지 원스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밝혔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시기에, 뉴스핌의 '타임라인 뉴스'가 제공하는 즉각적인 데이터와 AI의 심층 분석 기능이 투자자들의 '정보 비대칭'을 해소하고 더 빠르고 합리적인 투자 결정을 돕는 강력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뉴스핌 이 시각 PICK] 엔비디아 실적, AI 투자 방향 가른다 外](https://img.newspim.com/news/2025/11/18/2511180743401130.jpg)
![트럼프 말에 전부 반대 베팅했더니 수익률이…[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MJUY3B_1.jpg)


![D램 품귀에 계약 관행 바뀐다…월 단위→최장 1년 선구매 [AI 프리즘*글로벌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3DZ919_1.jpg)
![K바이오 기술수출 1조 시대…10년만에 평균 계약 2.6배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MW7CIO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