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장관, '2025년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 세미나' 참석
"근로자·회사·정부 모두 노력해야 사고 방지 가능"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근로자 안전사고 발생 시 회사도 유·무형의 손해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8일 박 장관은 '2025년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 세미나' 축사를 통해 현장 사고를 막으려면 근로자와 회사, 정부가 삼위일체로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근로자 개인의 각성과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환경을 만드는 회사의 훈련이 동시에 필요하다"며 "공무원 또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렇게 해야 건설 산업에 대한 대외적인 이미지나 국민들의 평판이 개선되고 산업 발전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 1분기 연이어 발생한 건설현장 사고에 대해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2월 부산 기장군에선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공사 현장에서 불이 나며 작업자 6명이 숨졌다. 같은 달 세종포천고속도로 공사 천안~안성 구간 청룡천교가 건설 중 붕괴하며 4명이 사망했다. 지난 달에는 신안산선 광명 구간(5-2공구) 지하터널이 무너지면서 근로자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났다.
박 장관은 "반얀트리 화재 사고의 경우 사용 승인이 났는데도 소방시설 등이 제대로 준공되지 않았다"며 "고속도로 교량 붕괴 사고가 난 지 불과 한 달 만에 지하철 건설현장에서 또 사망사고가 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장에서 안전 장비도 없이 일하던 30년 전에 비하면 많이 나아졌지만 아직도 위험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고 부연했다.
마지막으로 건설현장 사망자 수 감축을 위해 민관 협력이 필수라는 점을 강조했다. 박 장관은 "지난해 근로자 50인 이상 건설현장 사망자는 총 250명이었는데, 10년 정도 지나면 20명 선으로 줄어드는 나라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는 건설협회, 전문건설협회, 건설동행위원회가 공동 주최했다. 지난 2월 28일 관계기관 합동으로 발표한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 대책'의 일환으로, 각 기관별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일련의 대책이 건설현장에 효과적으로 정착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 대책의 각 기관별 추진현황 발표를 시작으로 관계 전문가 토론이 이어졌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