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드론 수출, 10배 성장…수출시장 점유율은 0.5%"

2025-11-13

무협, 'K-드론 산업 수출경쟁력 분석 보고서

최근 2년 간 글로벌 드론 교역 2배 이상 증가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국가안보 및 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전략산업인 드론 시장을 둘러싸고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우리나라 드론 산업의 낮은 수출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14일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K-드론 산업의 수출경쟁력 분석 및 향후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드론 교역 규모는 2022년 24억7000만 달러에서 2024년 61억1000만 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폴란드·미국·이스라엘 등 주요국의 수출도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드론 수출액은 2022년 281만 달러에서 2024년 2754만 달러로 약 10배 늘었지만, 세계 수출 시장 점유율이 0.48%에 그쳤으며 수출 순위는 덴마크와 태국보다 뒤처진 20위에 머물렀다.

또한, 우리 드론 산업의 비교열위 및 수입 편중도도 높은 수준이었으며 기체 및 부품 수출의 80% 이상이 상위 5개 국가에 집중되는 등 수출의 지역 편중도 또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기술 인력 부족, 연구개발 인프라 미비, 높은 중국산 부품 의존도 등 구조적 문제가 수출경쟁력 확보를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K-드론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한 4대 대응 전략으로 고중량 운송 드론 및 인공지능(AI) 기반 드론 등 고부가 제품 중심의 수출 확대, 신흥시장 진출을 통한 수출 다변화, AI·클라우드 등 첨단 서비스를 활용한 부품 생산성 제고, 촬영·데이터 분석·산불 감시 등 드론 서비스(DaaS·Drone-as-a-Service) 분야로의 확장을 제시했다. 특히 DaaS는 단순한 기체 판매를 넘어 드론 운용과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결합한 차세대 비즈니스 모델로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까지 함께 수출하는 전략을 제안했다.

또한, 보고서는 국내 드론 산업 생태계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 집중되어있는 만큼 신제품 실증 기회 확대, 신흥국 중심 K-드론 마케팅 지원 확대, 대기업-중소기업 협력 모델 구축을 통한 국내 수요 창출, AI 도입 지원 등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김무현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자율비행 기술의 발전과 주요국의 규제 완화로 글로벌 드론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의 정책 지원 및 기업의 기술개발 투자를 바탕으로 부품 자립도 강화와 서비스형 수출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ykim@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