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현 “일당 19만원의 진실… 새벽배송은 정말 ‘필수’인가”

2025-11-19

쿠팡 물류센터와 녹즙 배송 아르바이트 경험을 공개해온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새벽배송을 둘러싼 현실과 구조적 문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최근 정치 현장보다 노동 현장을 중심으로 근황을 전해온 박 전 위원장은 “우리가 누리는 ‘빠름’과 ‘편리함’의 비용을 이제는 다시 질문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일당 19만원, 그 뒤에 있는 진짜 이야기’라는 글을 올려, 지난 9월 쿠팡 물류센터 새벽조 아르바이트에서 받았던 고수당의 이면을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당시 새벽 1시부터 오전 9시까지 일하고 19만9548원을 받았다고 밝히며 화제가 된 바 있다.

박 전 위원장은 이번 글에서 쿠팡 측 프로모션 조건을 직접 공개했다. 해당 조건에는 △최근 28일 이내 근무 이력 없는 신규 헬퍼 △지각·조퇴 시 프로모션 무효 △다른 프로모션과 중복 불가 △CLS 계약직 지원 불가 등의 조항이 포함돼 있었다.

그는 “이 문구들은 높은 시급이 기존 노동자에게 주어지는 보상이 아니라, 신규 인력을 끌어오기 위한 단 한 번의 미끼임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실제 근무는 고되고 치열했다”며 “19만원은 체력과 시간을 맞바꾼 값이었지만, 그 이후로 같은 조건의 프로모션 문자를 다시 본 적이 없다. 오래 일수록 오히려 수당이 줄어드는 구조였다”고 말했다.

그는 주변 아르바이트 경험자들의 “4시간 만에 도망쳤다”는 반응을 언급하며 “나도 도망치고 싶었지만, 조퇴하면 고수당을 포기하게 되어 끝까지 버텼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당신들이 하라던 알바, 나 정말 하고 있었다’는 변명에만 몰두했던 것이 부끄럽다”며 “정치인으로서 구조적 문제를 말해야 했는데, 오히려 개인 체험에 머물렀다”고도 했다.

박 전 위원장은 노동 현장에서 얻은 결론을 “개인의 의지로 뒤집기 어려운 구조”라고 표현했다. 그는 “예전엔 쏟아지는 물건만 봤지만, 이제는 그 물건을 옮기는 사람들의 삶이 먼저 떠오른다”고 말했다.

최근 사회적 논쟁이 되고 있는 ‘새벽배송 금지’와 관련해 박 전 위원장은 구조적 개혁 필요성을 강조했다.

자신의 경험을 돌아보며 박 전 위원장은 “이제는 안다. 어떠한 노동은 누군가의 생계 그 자체이며, 개인의 의지로는 뒤집을 수 없는 구조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경력이 쌓여도 시급이 오르지 않고, 생계가 급한 사람들이 ‘선택’ 아닌 ‘강요된 선택’을 하게 되는 새벽 배송과 물류 센터 노동”이라며 “이 현실을 알고서도 새벽 배송이 필수라고 말할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박 전 위원장은 “빠름과 편리함 뒤에 있는 비용을 직시하는 데서 정치와 변화가 출발한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