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대비 32% 늘었지만
국민 체감 정도 여전히 '미미'
중·장기적 시각으로 접근해야
연말연초가 되자 은행권의 '이자 장사' 논란이 또다시 불거지고 있다. 지난해 시중은행들은 고금리에 막대한 이자이익을 벌어들였고, 금리가 내려가자 예대마진 차를 벌려 역대급 성장세를 이어나가는 중이다. 배부른 은행에 대한 세간의 시선이 곱지 않은 만큼, 사회 환원을 매년 늘리고 있지만 국민들이 느끼기엔 그 정도가 미미하다.
지난 2023년 은행권은 사회공헌비로 1조6349억원을 지출했다. 1년 전보다 32.1%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의 증가폭이다. 행장들도 틈만 나면 앞다퉈 사회공헌에 힘 주겠다고 부르짖고 있다. 하지만 어떻게 사회에 공헌하겠다는 것인지 '알맹이'는 빠져있다.
지금까지의 은행이 해왔던 사회공헌을 살펴보면 한쪽 분야에 치우치거나 일회성 지원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2023년 기준 은행들은 지역사회·공익 분야에 전체 사회공헌의 62%를 할애했고 이어 서민금융이 28%로, 두 분야에서만 90%의 지출이 발생했다. 학술·교육, 메세나, 환경, 글로벌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는 무게를 두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각 은행별로 차별점이 없다는 점도 문제다. 가장 흔한 '재난 지역에 대한 금융지원'이나 '시니어 대상 금융교육' 등은 꼭 필요하지만, 일회성에 그치거나 비슷한 내용이 매년 반복돼왔다. 지원이 한 두 분야에 치우치니 질적 발전은 미뤄질 수밖에 없다. 좀 더 다양하고 중장기적인 지원 사업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제언이 나오는 이유다.
올해 대한민국은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상황을 지나고 있다. 서민들은 고물가에 허덕이고 있고,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이후 금융시장 불안마저 이어지고 있다.
이런 와중에도 4대 금융은 지난해 약 17조원에 달하는 역대급 당기순이익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은행 '돈놀이 ' 비판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특히 대출금리는 높아졌는데 예금금리는 제대로 올리지 않아 막대한 수익을 취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울 듯 하다.
은행들이 진정한 상생금융을 하고자 한다면, 더 이상 사회공헌이 '보여주기식'으로 끝나서는 곤란하다.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금융 취약계층이 존재하는 만큼 아직 은행의 지원 손길이 닿지 않는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은행은 금융 소외층을 찾아내고, 중장기적으로 우리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사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것이 매년 듣는 이자 장사 논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