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은 가족 관계와 가치를 기리고 소중히 여기는 의미를 담은 가정의 달로 기념된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 성년의 날 등 기념일이 여럿이다. 한인 가정에서도 이런 날들을 지키려는 전통이 세대와 지역을 이어가며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념 분위기 이면에는 동시에 말 못 할 고통과 갈등을 겪는 가정도 적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5월은 가족의 치료와 치유에 대해 논의하기 적합한 시기이기도 하다.
최근 한인가정상담소(KFAM)에는 치료를 받기 위해 도움을 요청하는 한인 가정이 늘고 있다. 10대 자녀와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부모, 신뢰 회복을 시도하는 부부, 부모를 이해하려는 성인 자녀, 세대 간 부정적인 패턴을 끊고 싶어하는 상담자 등 사례는 다양하다. 이러한 변화는 한인들의 인식이 바뀌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거 한인 사회에서 심리 치료는 오랫동안 금기시되었다. ‘집안일은 집안에서 해결한다’는 전통적 가치관으로 인해 감정적 고통을 드러내기보다 인내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외부의 도움 요청은 약점으로 간주하거나 심지어 가족의 수치로 여겨지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더 많은 한인 가정이 진정한 가족의 사랑이 침묵이 아닌 소통에 있으며, 강한 가족은 고통을 숨기는 대신 함께 치유하는 가정이란 점을 깨닫고 있다.
KFAM은 지난 42년간 한국어 사용 가정이 문화적으로나 언어적으로 적합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안전한 공간 역할을 해왔다. 올해에만 치료 요청이 특히 가족 상담 분야에서 30% 이상 크게 늘었다. 이들 가정 중 상당수는 “이제 더이상 아프지 말자”면서 용감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최근에 KFAM에 접수된 상담 사례 중 부모-자녀 간 소통 단절과 갈등이 두드러졌다. KFAM에 온 부모들은 “자녀와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없다. 내 말을 듣지 않는다”고 호소했고, 자녀들은 부모가 “이해하지 않으며 이해하려 노력하지도 않는다. 항상 잔소리하고 무엇을 해야 할지만 말한다”고 토로했다.
치료적 관점에서 볼 때, 이런 현상은 연결하려는 욕구가 없어서가 아니라, 양측 모두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소통은 단순히 말하고 들리는 것만이 아니라 이해, 공감, 감정적 조율에 관한 것이며, 판단 없이 경청하고 상대방의 경험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것이 포함된다.
세대 차이 또한 갈등의 요인으로 분석됐다. 부모들은 오늘날 청소년들이 직면한 압박과 도전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특히 기술, 소셜 미디어 등 급변하는 환경의 도전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자녀들 역시 부모의 경험이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관련성이 없다고 느껴 단절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단절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인내심, 연습, 그리고 더 깊은 경청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단순히 들리는 말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감정과 관점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해당된다. 공감과 열린 소통의 기반을 재확립해야만 가족들이 커지는 단절을 극복할 수 있다.
치료는 실패의 신호가 아니라 사랑의 행위다. 전문적인 상담을 통해 소통 방식을 개선하고 신뢰를 회복하며 해로운 패턴을 끊어낼 수 있으며, 이는 가족 보존의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KFAM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 관계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길 것을 제안한다. 선물, 꽃, 나들이로 기념하는 것도 좋지만, 치료, 정신 건강, 정서적 안녕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솔한 대화, 깊은 경청, 치유 노력을 통해 가족이 더욱 건강해질 수 있다.
한인들이 가정의 달에 가족을 진정으로 돌보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더 깊이 성찰하길 바란다. 비록 치유는 어려울 수 있지만 사랑이 담긴 과정임을 깨달을 수 있다.
치유는 가족의 소중한 가치다. KFAM은 한인 가정들이 이를 발견하고 실현하는데 기꺼이 동행하고 있다. 문은 언제든 열려있다.
캐서린 염 / 한인가정상담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