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GC녹십자 등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대표이사 임기가 내년에 대거 만료된다. 글로벌 사업을 중심으로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룬데다 임기 만료 대표이사가 오너인 경우도 많아 대부분 연임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고, 신약개발 등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세대교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내년 3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GC녹십자, 한미약품, 대웅제약, JW중외제약, 휴젤, HLB 등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10여곳의 대표이사(사내이사) 임기가 만료된다.
우선 K바이오 '쌍두마차'인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와 기우성·김형기 셀트리온 대표 임기가 내년 3월 끝난다.
2020년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에 취임한 존림 대표는 두 번의 연임을 통해 회사를 글로벌 대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도약시켰다. 취임 전(2019년) 회사 매출은 7016억원에 불과했지만 5년 만인 지난해는 4조5473억원으로 6배 이상 성장했다. 올해는 창립 이래 첫 매출 5조원 돌파가 확실하다. 확실한 실적을 보인데다, 올해 인적분할이라는 새로운 변수가 생기면서 안정적인 경영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연임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셀트리온 창립 멤버인 기우성·김형기 셀트리온 대표 역시 연임 기류가 강하다. 두 사람은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의 성공적인 합병을 이끈 데다 실적 역시 해마다 '조단위' 성장을 예고하는 등 리더십 교체 요인이 적은 편이다. 다만 2세인 서진석 셀트리온 의장의 후계 작업에 따른 세대교체 바람과 기우성·김형기 대표의 용퇴 결정 등이 변수가 될 수 있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 정현호 메디톡스 대표, 진양곤 HLB 회장, 삼진제약 최지현·조규석 각자 대표의 대표이사 및 사내이사 임기도 내년 3월 만료된다. 모두 사실상 회사 오너라는 점에서 재선임이 확실시 된다. 특히 삼진제약은 올해 공동 창업주 최승주·조의환 회장 자녀들인 최지현·조규석 각자대표 체제로 전환한 만큼 내년 초 사내이사 재선임을 통해 '오너2세' 경영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한미약품, 대웅제약, JW중외제약, 휴젤, HLB 등도 큰 이변이 없는 한 대표이사 및 사내이사 연임이 예상된다.
한미약품의 경우 오너가 경영권 분쟁이 간신히 종식되고, 경영 안정과 신약개발 가속화라는 과제가 시급한 만큼 변화보다는 안정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박재현 대표는 경영권 분쟁에서 사실상 승리한 송영숙 회장 측이 신임한 인물이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이사 역시 취임 이후 보톨리눔 톡신 '나보타' 성장세에 힘입어 실적을 크게 개선한 만큼 교체 요인이 없다는 평가다. 휴젤은 '차석용 매직'에 힘입어 고공 성장 중이고, JW중외제약과 HLB 대표 역시 내부 신임이 높은 만큼 큰 변화는 없을 전망이다. 다만 JW중외제약의 경우 신 영섭 대표 체제가 9년차에 접어들었고, HLB는 글로벌 신약개발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는 만큼 세대교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내년 상당수 제약, 바이오 기업 대표이사 임기가 만료되지만 대부분 뚜렷한 실적 개선과 함께 최우선 과제인 글로벌 시장을 진두지휘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특히 국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변화보다는 안정을 통한 성장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



![[1년전 오늘] 롤드컵 사상 첫 'V5' 달성한 T1](https://www.jeonmae.co.kr/news/photo/202510/1197838_910950_4557.jpg)


![[GAM]14번째 A+H 증권사 탄생 임박② 中 국영 증권사 '수창증권'](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젠슨 황 '치맥 회동'이 재계에 던진 신선한 충격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https://newsimg.sedaily.com/2025/11/02/2H0ASC31VL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