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일염에는 왜 ‘강제노동’ 딱지가 붙었나

2025-04-07

미 CBP 수입금지 조치로 ‘국제문제’ 부상

2014·2021년 등 ‘염전 노동착취’ 반복

전남도 개선책 마련, “인식개선 지속 필요”

전국 최대 천일염 산지인 전남이 미국의 수입차단조치로 또다시 ‘염전 강제노동’ 논란에 휩싸였다.

전남도 등은 과거 잇따라 발생한 장애인 염전노동 착취 사건 이후 개선책을 마련해 시행 중이지만 이번 조치로 또다시 불명예를 안게 됐다.

앞서 미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신안 태평염전에서 생산된 천일염 수입을 차단하면서 한국 염전의 강제노동 문제를 거론했다.

7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국내 천일염의 대부분은 서남해안 지역인 전남에서 생산된다. 전남의 천일염 생산량은 2024년 기준 18만9000t으로 전국 생산량(20만8000t)이 90.1%다.

신안을 중심으로 전남에는 705개의 염전이 운영 중이다. 미 CBP가 ‘국제노동기구(IRO)에서 규정한 강제노동 지표를 확인했다’고 밝힌 태평염전도 신안 증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염전 중 가장 규모가 크다.

바닷물을 증발 시켜 천일염을 얻는 염전은 고강도 노동의 대표 업종이다. 때문에 염전은 ‘노동자 고용’이 쉽지 않다. 705곳의 전남 염전 중 612곳이 노동자 없이 가족끼리 운영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93곳의 염전에서는 153명의 노동자가 일한다.

이같은 이유로 일부 염전 업주들은 장애인을 고용해 노동력을 착취했다.

신안의 한 염전에서는 2014년 장애인에게 장기간 일을 시킨 뒤 임금도 제대로 주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 직업소개소를 통해 염전에 취업한 장애인 2명은 2014년 구출되기 전까지 각각 5년 2개월, 1년 6개월간 임금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강제노동에 시달렸다.

사회적 비판이 거세지면서 관계기관의 대대적인 현장 조사가 진행됐지만, 노동 착취는 근절되지 않았다. 2021년에는 태평염전을 빌려 소금을 생산하던 업자가 7년간 장애인에게 일을 시키고 임금을 주지 않은 사실이 또다시 드러났다.

전남도는 이 사건 이후 2022년부터 매년 염전 노동자 실태조사를 진행 중이다. 염전마다 공무원을 지정해 노동환경과 인권침해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2021년 이후 대책을 마련해 대부분 문제가 개선됐는데 CBP판단에 반영되지 못했다”면서 “‘천일염이 노동 착취로 생산됐다’는 것은 과거의 일인 만큼 바로 잡겠다”고 밝혔다.

전남지역 한 노동단체 관계자는 “당국이 노력하고 있지만 염전에서는 이주노동자가 일하는 등 여전히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면서 “현장 확인과 인식개선 교육, 실태조사가 지속해 이뤄져야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한국 천일염의 미 수출량은 많지 않다. 지난해 기준 한국 천일염의 미국 수출물량은 245t에 그쳤다. 미 CBP가 수입을 금지한 태평염전의 경우 연간 7~8t의 천일염을 국내 식품업체를 통해 미국으로 수출해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