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 교사 인플루언서’ 김차명씨
어려운 가정 형편 탓 교직 선택
교육 콘텐츠 제작 모임도 운영
경기도교육청 장학사하다 복귀
2025년 초엔 교직 권하는 책 출간도
“훌륭한 교사 육성엔 지원 필수
AI, 수업보다는 행정 활용을”
“취업 잘된다고 해서요.”
15년 차 초등학교 교사인 김차명(42) 교사가 말하는 교사가 된 이유다. ‘아이들을 좋아해서’, ‘어릴 적부터 꿈이어서’ 등 적성이나 소명과 관련된 시작은 아니었지만, 현실적인 이유로 교사를 택한 그는 누구보다도 교직 생활에 진심이다. ‘참쌤’이란 이름으로도 유명한 ‘1세대 교사 인플루언서’인 그는 교사들을 위한 디지털교육콘텐츠를 만드는 전국단위 교사모임 ‘참쌤스쿨’을 만들어 운영하고, 경기도교육청 장학사로 근무하기도 했다. 지난해 다시 학교로 돌아와 아이들과 함께하면서 올해 초 책도 펴냈다. 제목은 ‘그래도 네가 선생님을 했으면 좋겠어.’ 많은 이들이 교직의 고달픔을 이야기하는 시대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란 직업을 추천한다는 김 교사를 25일 만났다.

김 교사에게 교사는 현실적인 선택이었다. 김 교사는 “집이 어려워서 취직을 좀 빨리 하는 게 목표였다. 그때만 해도 ‘교대에 가면 100% 교사가 되던 시절’”이라며 “교사의 벌이가 나쁘다는 인식도 적었고, 초등학교 교사는 임용 경쟁률도 높지 않았던 때라 크게 고민 안 하고 선택했다”고 회상했다.
하지만 2025년 한국에서 교사란 직업의 전망은 그리 밝지만은 않다. 교권 추락 등이 연일 이슈가 되면서 교직을 떠나는 이들도 늘고 있고, 교대 인기도 떨어지는 추세다. 김 교사가 교대를 선택했던 때와 사뭇 달라진 풍경이다. 김 교사의 책에는 이런 시대에 교사로 살아가는 실존적인 고민이 담겼다. ‘진솔하게 말해보는 교사의 일과 삶’이란 부제처럼 교사로서 느끼는 고민과 위로, 조언이 가감 없이 들어갔다.
김 교사는 교직을 망설이게 하는 ‘수입’ 문제에 대해서도 솔직하게 털어놨다. 그는 “수당까지 합치면 나쁜 편은 아니지만 공제가 많아 실수령액이 적다. 연금도 많이 내고 적게 받는 구조”라면서도 “교사는 미래의 수입도 예측된다는 점은 장점이다. 젊은 선생님들을 만나면 이런 점을 활용해 주식이나 코인, 부동산 등에도 관심을 가져보라고 적극 권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수입이 적다고 불평만 하기보다,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사는 교권 이슈와 좁아진 임용문 등 교사로서 녹록지 않은 현실을 토로하기도 했지만, 인터뷰 내내 후회나 회의감은 느껴지지 않았다. 어려움을 끌어안고 고민하기보다는 털고 일어나 또 다른 방법을 찾는 것이 그가 ‘직업으로서의 교사’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비법처럼 보였다.
김 교사는 “교사는 여유 시간을 활용하면 평소 관심 있던 분야에 대해 배울 기회도 많고 또 다른 전문가도 될 수 있는 등 알면 알수록 직업적 장점도 크다”고 말했다. 그가 여전히 교사란 직업을 “10점 만점에 10점”이라고 말하는 이유다. 아이들이 자라는 것을 가까이에서 지켜볼 수 있다는 점은 무엇보다 가장 큰 기쁨과 보람이기도 하다.
김 교사가 말하는 ‘훌륭한 교사’가 되는 조건은 ‘노력하고 성찰하며 아이들에게 진심을 다하는가’다. 훌륭한 교사가 되기 위해 교육 당국의 지원은 필수다. 김 교사는 “아무리 힘든 직장이어도 자신이 성장한다는 느낌을 받으면 몸과 마음이 소진되는 이상의 의욕이 샘솟지만, 현재의 학교 시스템은 열정적인 교사들의 희생만 강조한다”고 꼬집었다.
김 교사는 “현재 교육 당국이 인공지능(AI)을 수업에 활용하는 정책을 펼치는데 그보다 행정업무에 이용해야 한다”며 “교사들이 교직을 후회하지 않고 아이들과 함께 성장하는 느낌으로 즐겁게 살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면 좋겠다”고 밝혔다.
그는 교사들을 둘러싼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교사들도 적극성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사는 “교권 문제도 법을 만들거나 교육감이나 교원 단체가 나서서 해결할 수도 있지만 우선 교사들 스스로 자존감을 가지고 변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며 “교사들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어떠한 변화도 없다”고 말했다.
그의 꿈은 되도록 오래 교사를 하는 것이다. 언젠가 AI가 교사를 대체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지만, 그는 지금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김 교사는 “교직 인기가 떨어진다고 하지만 어쩌면 지금이 ‘저점’이라는 생각도 든다”며 “교사란 여전히 가능성이 크고 재밌는 직업이다. 좋은 분들이 오래 함께하길 바란다”며 웃었다.
김유나 기자 y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