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훈 센트럴서울안과 원장의 녹내장 여정

녹내장은 눈 속 시신경이 점진적으로 약해지는 것이고, 백내장은 수정체가 점차 혼탁해지는 질환이다. 두 질환의 이름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병이다. 녹내장과 백내장은 모두 나이가 들수록 발생 위험이 커진다. 한 눈에 두 질환이 동시에 발견되거나 초기에는 녹내장만 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백내장이 추가로 나타나기도 한다.
녹내장 치료는 주로 안약을 사용해 안압을 조절하고 진행을 억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에 백내장은 진행을 억제하는 약물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다. 결국엔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녹내장이 있는 눈에 백내장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면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녹내장 진행 상태와 수술 후 안압 조절이 원활할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백내장 수술 시기가 최우선 고려 대상이다. 백내장 수술은 보통 수정체 혼탁으로 시력에 지장을 줘 일상생활이 불편할 때 한다. 하지만 녹내장이 함께 있는 경우엔 시력 저하뿐 아니라 백내장 수술이 녹내장에 미칠 영향을 함께 평가하는 게 필요하다.
예컨대 폐쇄각 녹내장은 눈 속 액체(방수)가 빠져나가는 길이 좁아져 안압이 급격히 상승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런 환자에게 백내장이 진행되면 수정체가 두꺼워지면서 방수 유출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안압이 높아지는 걸 방지하고 녹내장 악화를 막기 위해 백내장 수술 을 일찍 하 는 것이 유리하다.
백내장이 심해지면 눈 속이 뿌옇게 보여 시신경 사진이 흐리게 찍히고, 시야 검사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지기도 한다. 이런 경우 녹내장 관련 검사의 정확도에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백내장 수술을 미루지 않는 것이 좋다.
반면에 녹내장이 아주 심한 상태이거나 이미 녹내장 수술을 받은 경우면 백내장 수술 과정이나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안압 상승이 녹내장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백내장 수술을 서두르기보다는 수술 후 안압 조절이 가능할지를 검토해 신중히 결정하는 편이 낫다.
다음으로 고려할 사항은 수술 방법이다. 백 내장 수술 중에는 특수한 액체(관류액)의 압력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해 눈 속 공간이 무너지지 않게 하고 수정체 조각을 씻어낸다. 이 과정이 시신경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수술 후 염증이나 약물 사용으로 안압이 오르기도 한다. 녹내장이 있는 환자에게는 백내장 수술이 녹내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수술 방법을 상황에 맞춰 조정해야 한다. 수술 후 안압이 불가피하게 오르더라도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는 경험이 풍부한 안과 전문의에게 수술받는 것이 안전하다.
인공수정체 선택도 중요한 요소다. 백내장 수술에서는 근거리와 원거리를 동시에 보완하는 다초점 인공수정체가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녹내장이 있는 환자에게는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욕심을 내기보다는 시력 회복의 안전성을 우선으로 고려해 부작용이 적고 적응하기 편한 인공수정체를 선택하길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