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있다는 교사에 ‘거짓말이다’”···경기교육청, 하이러닝 홍보영상 ‘교사 비하’ 논란에 사과

2025-11-17

경기도교육청이 공개한 인공지능(AI)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 하이러닝의 홍보영상이 “교사를 비하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교원단체까지 나서 반발이 거세지자 경기교육청은 해당 영상을 비공개 처리하고 사과했다.

17일 경기도교육청과 교원단체, 도의회 등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최근 유튜브 채널에 AI 서·논술형 평가시스템이 교사의 국어과목 서·논술형 시험 채점을 돕는 내용의 영상을 게재했다. 영상에는 AI로 분장한 인물이 오답에 대한 학생들의 이의 제기에 대해 교사를 도와 설명하는 장면이 담겼다.

문제는 교사의 말에 대해 인공지능이 해석하는 부분에서 불거졌다. AI는 교사의 격려에 대해 “빈말입니다. 동공이 흔들리고 음성에 진심이 담겨있지 않았습니다”라고 했다. 쉬는 시간에 회의가 있다는 교사의 말에 대해서는 “거짓말입니다. 평소 이 시간에는 화장실을 이용하는 시간입니다”라고 답변했다.

이 영상이 공개되자 교사들은 “교사를 조롱하고 비하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에 공개되었다가 논란이 된 홍보영상은 단순한 홍보가 아니다”라며 “영상 속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질문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하고, 빈말과 거짓말을 늘어놓는 무능한 존재로 그려졌다”고 말했다.

이어 “교사의 인격을 모독하는 수준을 넘어서 AI가 교육을 어떻게 망가뜨릴 수 있는지 보여주는 상징적 단면”이라며 “다른 영상을 보면, 경기도교육청은 교사들을 ‘시간 나면 해외여행 다니는 존재’ ‘고경력 교사는 클릭도 제대로 못하는 무능한 존재’로 그렸다”고 지적했다.

전교조 경기지부는 “이런 시각은 교육의 본질인 인간적 신뢰와 교육적 상호작용을 완전히 파괴하는 위험한 발상”이라며 “이미 교사들은 기존 행정업무와 생활지도로 지쳐있을 뿐만 아니라 교권침해와 바뀌지 않는 현실 속에서 학습된 무기력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의 역할을 시스템 운영과 데이터 입력이라는 AI 보조적 역할로만 축소시키는 것”이러고 밝혔다.

논란이 확산하자 도교육청은 영상을 비공개 처리하는 한편 홈페이지에 입장문을 올려 사과했다.

도교육청은 입장문에서 “영상의 본래 의도는 교사의 업무 부담을 덜고 교육 현장을 지원하기 위함을 알리기 위한 것이었지만 취지와 달리 오해를 불어온 장면이 있어 영상을 비공개 처리했다”며 “상처받았을 교사들께 깊이 사과드리고 이번 사안을 무겁게 받아들여 이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