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곤 6.20점, 비빈곤 7.19점
“행복 형평성에 정책 초점을”
지난 10년간 한국 아동의 행복 수준이 개선됐지만 가구소득 등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한국 아동의 행복 수준과 격차’ 보고서를 보면 2023년 우리나라 아동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7.14점이었다. 6점 이상이 83%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9점 또는 10점이라고 평가한 아동의 비율도 19%에 달했다.
정부는 5년 주기로 아동종합실태조사를 실시하는데 삶의 만족도 평균 점수가 2013년엔 6.10점, 2018년엔 6.57점이었다.
아동의 행복도는 가구의 소득수준에 비례한다. 빈곤 아동과 비빈곤 아동을 나눠서 보면 비빈곤 아동의 만족도는 2013년 6.18점, 2018년 6.65점, 2023년 7.19점으로 꾸준히 개선됐다. 빈곤계층 아동의 만족도 역시 4.61점, 5.16점, 6.20점으로 향상됐지만, 비빈곤계층보다는 1~1.5점 정도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소득이 낮은 그룹에 속한 아동일수록 ‘어제 걱정했던 정도’ ‘어제 우울했던 정도’와 같은 부정적 문항에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줬고, ‘어제 행복했던 정도’ ‘요즘 삶에 만족하는 정도’ 등 긍정적 문항엔 낮은 점수를 부여했다.
아동의 행복도는 가구 형태별로도 차이를 보였다. 한부모, 조손가정 아동의 만족도는 2013년 5.24점, 2018년 5.64점, 2023년 6.33점으로, 그 외 가정 아동(각 6.25점, 6.64점, 7.26점) 대비 낮았다.
유민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계층 간 아동 행복도 격차가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은 단순히 평균적인 수준을 높이는 것만으로는 아동 행복의 형평성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명확히 드러낸다”면서 “빈곤 아동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정 아동, 장애 아동, 시설보호 아동, 한부모가정 아동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취약 아동·청소년 집단의 행복 수준을 세밀하게 측정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