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주한옥마을 1500만명 관광 시대 열렸지만 ‘정체성 훼손’ 논란 여전
10년 새 주민 500명 ‘뚝’,관광객 600만 명 ‘쑥’ 주민들 떠난 집 상점들 꿰차
북촌한옥마을이 '오버 투어리즘(과잉 관광·관광객이 몰리면서 주민의 삶과 환경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에 전통적인 가치·주민 생활권 보호를 위해 '야간 통금'을 도입했다.
'오버 투어리즘'은 비단 북촌한옥마을만의 문제가 아니다. 국내외 유명 관광지 곳곳이 관광객이 몰리면서 쓰레기·소음 문제 등으로 주민의 삶과 환경이 침해받는 상황이다. 전주한옥마을도 이에 해당된다.
하지만 북촌한옥마을만큼 주민이 많이 살지 않는 전주한옥마을에 '야간 통금'을 대입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전주한옥마을이 '오버 투어리즘'을 겪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오버 투어리즘' 탓에 생활형 한옥마을을 지향했던 전주한옥마을의 주민들도 떠나고 있다. 전주한옥마을의 '오버 투어리즘'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전주한옥마을 곳곳을 둘러봤다.
정체성을 잃은 전주한옥마을이 1500만 관광 시대가 열릴 동안 주민은 500명이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실제 주민이 거주하는 '생활형 한옥마을'을 지향했지만 '오버 투어리즘' 탓에 주민은 전주한옥마을을 떠날 생각만 했던 것이다.
15일 전주시와 풍남동 주민센터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전주한옥마을 주민 수는 518세대 841명이다. 2015년에는 615세대 1316명 거주한 데 반해 10년 새 475명이 떠났다.
반면 관광객 수는 600만여 명이 늘었다. 2015년(2014년 10월∼2015년 9월) 965만 3035명이 전주한옥마을을 찾았는데, 지난해에는 10여 년 만에 571만 1171명이 더 찾으면서 1536만 4206명이 몰렸다.
이러한 집계는 '오버 투어리즘'이 심각해졌다는 것을 보여 준다. '생활형 한옥마을'의 정체성은 사라지고 완전한 관광지가 되면서 주민들이 살아가는 게 쉽지 않아졌다.
지난 2014년 7월에 열린 전주한옥마을 발전을 위한 전주시장 초청 간담회에서 입주민 150여 명은 "관광객을 위한 한옥마을이냐, 주민을 위한 한옥마을이냐"고 지적했다. 전주한옥마을이 타 지역 한옥마을보다 비교 우위에 있는 '생활형 한옥마을'의 정체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2019년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이슈 브리핑 '오버 투어리즘과 사회적 딜레마'를 보면 '오버 투어리즘'을 경험한 장소로 전주한옥마을이 상위권에 들었다. 제주도(24.5%)가 가장 높고 북촌한옥마을(10.5%), 전주한옥마을(9.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광객이 많이 몰리면서 주민은 떠나기 시작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주민이 떠난 자리에는 카페와 식당, 오락시설, 액세서리·옷 가게 등이 들어섰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전북지역 주요 상권 동향(2015∼2022년)에 따르면 2015년 전주한옥마을 인구 수가 1316명이었을 때 사업체 수는 1081개였다. 2022년에는 1088개로 늘었다. 올해 인구 수가 1000명 선 아래로 떨어진 것에 비춰봤을 때 주민 수보다 사업체 수가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제는 전주한옥마을이 주거지 위주가 아니라 상업화되고 있다는 의미다. 1500만 관광객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쇼핑과 숙박시설 등이 필요하지만 전주한옥마을의 고유한 이미지를 잘 살려서 가져가는 것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들어서 있는 상점 등이 전주한옥마을과는 어울리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꼬치 등 흔한 길거리 음식을 주로 파는가 하면, 풍선 터트리기·오리 건지기 등 사행성 영업소가 생겨났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주한옥마을을 찾은 관광객들은 당혹함을 감추지 못했다. 한옥의 고즈넉함과 고요함 등을 기대했지만 기대와 다른 현장 모습에 "한옥의 고즈넉함은 온데간데 없네요", "이렇게 생긴지 몰랐어요", "다른 관광지와 크게 다르지 않네요" 등 전주한옥마을만의 정취를 느끼기에 아쉽다는 평가가 많았다.
전주한옥마을이 정체성을 잃고 유원지로 전락하게 된 것에 아쉬움이 남지만 매년 관광객이 늘어나는 것은 사실이다. 과거에 머무르며 전주한옥마을의 정체성에 집착하기에는 늦은 만큼 전주한옥마을만의 지속 가능한 관광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말이다.
진명숙 전북대 고고인류문화학과 교수는 "과거 전주한옥마을의 정체성은 주거지로서의 관광지였다. 매력은 수십 년간 주민이 살아왔던 마을이 있었다. 주거지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자는 것이었지, 주거지를 상업지구로 바꾸자는 것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이제 와서 전주한옥마을의 정체성에 대해 논의하기에는 늦었다. 전주한옥마을이 관광지로 변모하고 꾸준히 관광지로 확장된 것이 사실이다"면서 "이제는 과연 1500만 숫자가 전주한옥마을이 수용할 수 있는 수치인지, 오버 투어리즘의 대안을 고민할 때는 아닌지 짚어볼 때가 됐다"고 덧붙였다.
건강한 관광 생태계를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했다. 진 교수는 "전주한옥마을은 한옥의 정서를 느낄 수 있고 주인장의 정을 느낄 수 있는 생활형 한옥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듯) 어디서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주한옥마을에서만 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대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디지털뉴스부=박현우·문채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