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전쟁 중국, SWIFT 대체 박차...자체망 거래액 42.6% 증가

2025-04-22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자국 국제 결제 시스템의 글로벌 저변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나섰다. 미중 간의 갈등이 금융 영역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금융감독총국, 국가외환국, 상하이시 시정부와 함께 '상하이 국제 금융센터의 국경 간 금융 서비스 편리화 강화 행동 방안'을 발표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사가 22일 전했다.

행동 방안은 18가지 조치를 담고 있다. 특히 행동 방안은 '국경 간 위안화 지급 시스템'(CIPS) 기능 강화와 글로벌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목표를 명확히 하고 있다. 행동 방안은 더 많은 글로벌 은행이 CIPS에 가입하도록 추진하고, CIPS 시스템을 완비하며, CIPS가 위안화로 표시된 글로벌 무역금융, 선박·해운금융, 투자금융 등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것 등을 내용으로 담고 있다.

CIPS는 중국이 만든 위안화 국제 결제 플랫폼이다. 중국이 스위프트(SWIFT)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CIPS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일방적인 운영자가 없다. 때문에 가입과 탈퇴가 자유로우며, 운영자에 의한 강제 탈퇴 조치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이 주도하는 스위프트는 러시아와 이란을 결제망에서 배제하는 조치를 내린 바 있다.

지난해 CIPS를 통한 거래 건수는 821만 건으로 전년 대비 24.2% 증가했고, 거래 금액은 175조 위안으로 42.6% 증가했다.

CIPS는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 169개의 직접 참여자와 1487개의 간접 참여자가 이용하고 있다. 전 세계 119개국을 커버하고 있다. 4800개 이상의 은행 법인이 이용하고 있다.

CIPS는 직접 참여자가 중심이 되어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간접 참여자가 이를 통해 국제 결제망을 활용하는 형태로 설계됐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들이 직접 참여자 혹은 간접 참여자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위안화의 글로벌 위상은 여전히 약한 상태다. 위안화는 세계에서 4번째의 결제 통화이자, 3번째의 무역 금융 통화이지만 시장 점유율은 3%대에 불과하다. 공식 외환보유고에서의 점유율 역시 2~3%에 불과하다. 국제 채권 점유율 역시 1% 미만이다.

ys1744@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