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석화 불황에 '산업용 전기 요금 감면' 아우성

2025-07-23

철강, 석유화학 업계가 산업용 전기요금 감면 요구가 커지고 있다. 중국발 과잉 공급, 미국의 관세 정책 등으로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급등한 산업용 전기 요금까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배경이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철강협회는 정부의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태스크포스(TF)를 비롯한 다양한 회의에서 전기 요금 감면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화학산업협회 역시 지난해 경쟁력 제고 방안을 수립할 때부터 꾸준히 전기 요금 감면을 건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용 전기 요금은 지난 2022년 킬로와트시(㎾h)당 105.5원에서 올 1분기 192원으로 82% 올랐다. 철강산업과 석유화학 산업은 반도체, 데이터센터와 함께 에너지 다소비 산업으로 분류된다. 전기 요금이 인상되면 고정비 부담이 커지게 된다. 1㎾h 당 1원이 인상되면 연간 약 200억원의 부담이 늘어나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특히, 철강 업계는 탄소중립 실현의 중간 다리로 전기로 사용 비중을 늘리면서 고충이 커지고 있다. 고철을 전기로에 녹여 쇳물을 만드는 만큼 고로 중심으로 운영됐을 때보다 전기 요금에 대한 영향이 크다.

실제로 전기로 비중이 높은 현대제철은 지난해만 전기료를 포함한 에너지 비용에 약 2조6000억원을 지출했다. 동국제강도 연간 약 3000억원의 전기료를 부담했다. 주간에 공장을 멈추고 야간에만 가동하는 등 전기료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전략을 펼치고 있지만 전기 요금 인상으로 효과는 제한적이다.

석유화학 업계 상황도 비슷하다. 업황 부진으로 NCC 등 공장 가동률은 줄어들었어도, 전기 요금에 대한 부담은 여전하다. 지난해 국내 최대 석유화학 산업단지인 여수산단의 전기료는 2조원 이상으로 알려졌다. 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분해 전기화 도입 등이 추진되어야 하지만 현재의 전기 요금 수준으로는 추진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양 업계는 하반기 발표 예정인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과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 후속 대책에 산업용 전기 요금 감면 포함을 요구하고 있다. 중국의 공급과잉과 미국의 관세정책 등으로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버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산업용 전기 요금이 단기간에 급등해 부담이 큰 상황”이라면서 “철강, 석유화학산업이 위기가 심각한 상황인 만큼 단기적으로 경쟁력을 회복하고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기 요금 인하, 감면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지속적인 혜택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해당 산업이 모여있는 지역에 한해 한시적 인하, 감면을 건의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조성우 기자 good_sw@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