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부채비율 3년 만에 감소 전환…직원 평균보수 7200만원

2025-04-30

자산 1151조·부채 741조…순익 8.1조 흑자

일자리·정원 소폭 증가…복리후생비는 감소

일·가정 양립 지표 개선…男 육아휴직 15%↑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지난해 공공기관 부채비율이 3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순이익이 흑자로 전환되고 자본이 증가하면서 재무 건전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장은 평균 1억91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보수는 7200만원으로 집계됐다. 기관장과 직원 평균 보수 모두 전년과 비교해 2.6% 증가했다.

기획재정부는 30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를 통해 총 331개 공공기관의 경영정보를 공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정기공시는 지난해 말 기준 총정원과 채용, 재무정보, 복리후생, 환경·사회·투명(ESG) 지표 등 29개 항목에 대해 최근 5년간의 변화를 담았다.

◆ 신규 채용 2만명 그쳐…코로나 완화에 의료기관 채용 줄어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체 공공기관의 총정원은 42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2000명 늘었다. 정원 규모는 ▲기타공공기관 15만7000명 ▲공기업 14만9000명 ▲준정부기관 11만7000명 순으로 컸다.

신규채용 규모는 2만명으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신규채용 규모는 최근 5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는데, 2020년 3만명에서 2021년 2만6000명으로, 2022년 2만5000명 등으로 하락했다. 2023년과 지난해에는 2만명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완화에 따라 공공의료기관의 신규채용이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주요 공공의료기관의 신규채용은 2022년 기준 9000명에 달했지만, 2023년에는 7000명으로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약 5000명으로 줄었다.

기관별로는 건보공단 등 보건의료 분야에서 약 800명을 채용했다. 철도공사 등 사회간접자본(SOC) 분야에서는 약 600명을, 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 분야에서는 200명을 각각 고용했다.

신규채용 중 사회형평적 채용도 법적 의무 기준을 웃돌았다. 청년 채용은 정원 대비 4.4%로 의무고용 비율(3.0%)을 넘어섰다. 장애인 고용은 상시 근로자 대비 4.1%, 이전지역 인재 채용은 의무화 대상 대비 41.5%로 의무고용 비율인 3.8%와 30%를 각각 웃돌았다.

◆ 부채 규모 늘었지만 부채 비율 감소…'일·가정 양립' 개선

재무 부문에선 전체 공공기관(은행 제외)의 자산이 1151조9000억원으로 전년보다 54조5000억원(5.0%)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부채는 741조5000억원으로 31조8000억원(4.5%) 늘었다.

전년보다 부채 규모가 불어났지만, 경영 여건 개선에 따른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 등 자본이 전년 대비 22조6000억원(5.8%) 증가하면서 부채 비율은 전년 183.0%에서 180.6%로 2.3%포인트(p) 하락했다.

부채가 늘어난 기관은 ▲주택금융공사(8조7000억원) ▲토지주택공사(7조3000억원) ▲도로공사(3조2000억원) ▲건보공단(3조원)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금융공사와 토지주택공사는 채권 발행으로 인해 부채가 쌓였다. 도로공사는 도로 건설을 위한 차입이 늘어난 데 영향을 받았고, 건보공단은 보험급여비 충당 부채가 증가해 전체 부채가 늘었다.

전체 공공기관의 당기순이익은 전년(-3조2000억원) 대비 11조4000억원 증가한 8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한국전력(3조6000억원)과 가스공사(1조1000억원) 등이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한국전력은 요금 인상과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 등에 힘입어 호실적을 거뒀고, 가스공사는 이자비용 절감과 해외사업 영업이익 증가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공공기관 기관장의 지난해 평균 보수는 1억91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직원 평균 보수는 7200만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2.6% 늘었다.

복리후생비는 총 8180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줄었다. 1인당으로는 187만원으로 3.0% 감소했다. 주택자금(21%↑)과 학자금(16.7%↑)은 증가했지만, 선택적 복지비(7.1%↓)와 보육비(12.3%↓)는 감소했다.

일·가정 양립 지표는 대체로 개선됐다. 남성 육아휴직자는 6678명으로 전년보다 14.7% 늘었고, 전체 육아휴직자는 2만5284명으로 2.7% 증가했다. '6+6 부모육아휴직제' 도입 등의 제도 개선과 공공기관의 제도적 지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기재부는 "이번 공시된 경영정보를 바탕으로 공공기관 현황을 면밀히 진단하고, 향후 제도 개선 방향 수립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rang@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