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청와대재단은 28일 청와대 보전과 지속적인 관리에 힘쓰고 있다며 부실 관리 의혹을 부인했다.
재단은 이날 "청와대 용고는 올해 초 예산을 마련해 보존을 위한 수리 작업에 들어갔으며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어 5월에 새 모습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그러면서 "춘추관 2층 테라스에 설치된 대형 북(용고)은 1991년 노태우 정부 시절, 김관식 장인이 제작한 것"이라며 "수십 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일부 훼손이 발생했다. 24년 말 용고 수리 예산 5700만 원을 확보하고 올해 초, 원 제작자인 김관식 장인 측에 용역을 발주해 보존을 위한 수리 작업에 들어갔으며, 작업 진행 기간 동안 용고는 가림막으로 가려진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리 작업은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올해 5월이면 새롭게 보존 처리한 용고를 국민에게 공개할 예정입니다. 또한 청와대재단은 청와대 내의 문화재적 가치를 가진 시설의 보존과 복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알려드린다"고 강조했다.
또 청와대 내 설치된 지 오래된 안내판은 순차적으로 교체하고 있다고도 알렸다. 재단 측은 헬기장 안내판의 정보무늬(QR코드)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지적에 "청와대 개방 이후 방문객 편의를 위해 개방 전에 설치된 지 오래된 안내판에 대해 예산을 확보, 순차적으로 교체하고 있으며 대부분 완료한 상황"이라며 "헬기장 안내판도 이 계획에 따라 올해 예산을 확보해 교체 절차에 들어갔다"고 했다.

청와대 주요 시설물들 역시 예산을 확보해 순차적․지속적으로 개보수를 진행 중이다.
청와대재단은 본관 1층 목조 기둥의 긁힘, 영빈관 외부 바닥(팔도배미) 돌의 파손 등에 대해서도 청와대 시설 전반의 노후화 상황을 고려해 순차적 개보수 계획을 수립해 정비하고 있음을 알렸다. 이를 위해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본관, 영빈관 등 주요 시설물에 대해 전수 조사를 했고, 이를 바탕으로 전면적인 개보수 계획을 수립했다고 전했다. 1978년에 조성된 영빈관 외부 바닥은 올해 2분기 중 완료를 목표로 개보수 절차가 진행 중이다.
재단 측은 "청와대 주요 건물들은 평균 38년 이상 된 건축물로서 지속적인 관리와 개보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시급한 보수 작업을 중심으로 순차 보수․보완 공사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나, 본관과 영빈관처럼 대규모 보수가 필요한 시설에 대해서는 별도의 예산을 편성하고 일정을 확보해야 한다. 보수를 위한 예산을 확보하는 데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도 덧붙였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