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버드대가 오래 전부터 중국과 깊은 관계를 맺어온 것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들어선 뒤로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23일 보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친중(親中) 성향이고 중국 공산당을 배후로 삼은 영향력 공작이 캠퍼스에 만연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하버드대 외국인 학생 중 약 5분의 1은 중국 국적자다.
지난 22일 미국 국토안보부(DHS)는 하버드대가 반유대주의를 부추기고 중국 공산당과 협력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 대학의 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tudent and Exchange Visitor Program·SEVP) 인증을 전격 취소했다.
해당 조치로 하버드대는 외국 유학생을 받지 못할 뻔 했으나, 하루 뒤인 23일 미 연방지방법원은 하버드대가 낸 가처분신청을 받아들여 효력이 일시중단됐다. 다만 향후 법적 공방 결과에 따라 조치가 되살아날 수도 있다.
로이터는 이전부터 하버드대에 중국 정부의 영향력이 크다는 우려가 공화당 연방의원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었다고 전했다. 중국이 하버드대를 조정해 미국의 첨단 기술에 접근하고 미국의 안보 법률을 우회해 중국에 대한 비판을 억제하고 있다는 우려다.
백악관의 한 관계자는 로이터에 “너무나 오랫동안 하버드대는 중국공산당이 하버드대를 이용하도록 내버려뒀다”며 “중국공산당의 지령으로 캠퍼스에서 자경단이 괴롭힘을 벌이는데도 (하버드대는) 못 본 척 했다”고 주장했다. 하버드대는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
로이터는 하버드대가 오래 전부터 중국 연구자들이나 대학들과 연구 협력 관계를 맺고 중구 관련 센터를 설립하는 등 중국과 인연을 이어왔으며, 이를 통해 거액의 기부금 유치, 국제관계에서의 영향력, 세계적 명성 등 유·무형의 득을 봐왔다고 설명했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하는 중국정부와 하버드대의 유착 사례는 과거 공화당이 주도한 연방하원 중국문제 특별위원회에서 거론됐던 것들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2018년 첨단과학기술이 중국으로 유출되고 있다며 중국계 스파이 조사 프로젝트인 ‘차이나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선 후인 202년에야 공식적으로 종료됐다.
찰스 리버 전 하버드대 교수는 ‘차이나 이니셔티브’를 계기로 수사를 받고 하버드대를 그만둔 후 중국으로 이민했다. 그는 중국 정부의 해외 인재 유치 사업인 ‘천인계획’과 관련해 허위진술을 했다는 혐의로 미국 연방법원에서 유죄평결을 받았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하버드대의 자금조달 방식도 들여다보고 있다. 미국 교육부는 지난달 하버드대에 외국으로부터 조달한 자금에 대한 정보공개가 불충분하다며 기부금 서류와 계약 문서 등 기록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워싱턴DC 소재 주미 중국대사관은 성명을 내고 “중국과 미국 사이의 교육 교류와 협력은 서로 유익한 일이며, 부정적인 낙인을 찍을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