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등 독도를 둘러싼 한일 양국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독도와 관련한 설문조사 전화를 받으면 자동으로 현금이 인출된다는 ‘허위 보이스피싱 경고글’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에 무차별로 확산하고 있다. 10여년 전에 유행했다 가짜로 판명난 독도 여론조사 빙지 신종 보이스피싱 경고 문구가 최근 다시 퍼지는 등 시민의 불안 심리를 이용한 괴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16일 경찰 등에 따르면 최근 네이버 카페나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 SNS 등에 독도 여론조사를 사칭한 신종 보이스피싱을 주의하라는 경고 문구가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신종사기를 알려드린다’로 시작하는 경고글은 “일본 정부가 자국민을 상대로 독도 여론조사를 시행한 결과 61%가 ‘독도는 일본 땅’이라고 답했다”며 “보이스피싱 조직이 이 기회를 빌미삼아 우리나라 국민을 상대로 전화를 해 가짜 여론조사를 한다”고 적혀있다.
이어 “’독도는 누가 뭐라해도 한국 땅’이 맞으면 1번, 틀리면 2번을 눌러 달라는 멘트가 나오는데, 무심코 1번을 누르면 25만 원의 통화료가 바로 결제된다”며 “국민의 애국심을 이용한 못된 신종 사기이니 조심하라. 복사해서 주위 분들에게 속히 전달해 달라”며 주의를 당부한다.
그러나 경찰에 따르면 이러한 유형의 보이스피싱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고문 또한 10여년 전인 2012년 처음 누리꾼들 사이에서 유행한 바 있으며, 2019년과 2023년 등 일본과 국가적 갈등이 있을 시기마다 간헐적으로 부활했다. 문구도 10년간 글자 하나 변하지 않고 있다.
당시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 관계자는 괴담이 일파만파 퍼지자 “이동통신회사에 직접 확인한 결과 루머인 것으로 판명났다”며 “전화를 받고 숫자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는 결제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한 바 있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경찰청에 직접 금전적 피해를 입었다며 접수된 사례는 한 건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전화가 아닌 문자를 활용한 스미싱은 당시에 실제 피해를 유발한 바 있다. 전화와 유사한 내용의 독도 여론조사 문구와 함께 첨부된 링크를 누르면 스마트폰에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이 설치돼 사용자의 금융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유출하는 방식이다.

경찰은 허위성 경고 글이 최근 들어 다시 유행하게 된 경위에 대해 일본과의 영유권 분쟁을 이유로 꼽았다. 이달 10일 일본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참석하 다카이치 총리는 ‘다케시마(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의 날’ 행사와 관련한 질문에 “역사적 사실에 비춰볼 때도 국제법상으로도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답한 바 있다. 이보다 앞서 일본 측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에어쇼에 참가하기 위해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 기지에 기착해 급유할 계획이었던 블랙이글스의 급유를 거부하기도 했다. 지난달 28일 블랙이글스가 독도 인근에서 통상 훈련을 진행했다는 이유에서다.
이외에도 마루야마 다쓰야 시마네현 지사가 아카마 영토문제 담당상에게 "한국이 독도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내용의 문서를 전달하거나, 일본 정부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 마련한 ‘영토·주권 전시관’에 새로운 교육 공간을 확장하는 등 영토 분쟁에 다시 불이 붙고 있는 모양새다.
한 경찰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기법이 날이 갈수록 치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시민들이 불확실성이 만든 괴담을 쉽게 믿고 이를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신종 보이스피싱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도 필요하지만 악성 루머가 사회적 불안감을 심화시키는 만큼 정보에 대한 확실한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