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KAIST와 협력해 AI-전자기전 특화연구센터 설립

2025-08-28

한화시스템, 펀진과 함께 전자기전 기술 고도화 나선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AI-전자기전 특화연구센터를 설립하고, 국내 방산 전자 선도기업인 한화시스템 및 국방 AI 전문기업 펀진과 함께 미래 국방역량의 핵심이 될 전자기전 기술 고도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센터 개소식은 27일 KAIST 대전 연구센터에서 개최되었으며, KAI 차재병 부사장, 한화시스템 박혁 DE 사업부장, 펀진 김득화 대표, KAIST 조병관 연구처장 등 산·학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AI-전자기전 특화연구센터는 초연결 네트워크 중심의 현대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자기전 요소기술과 인공지능(AI) 기술의 산·학 공동연구를 통해 전자기전 항공무기체계 핵심기술 내재화를 목표로 한다. 이 기술 개발은 KAI, 한화시스템, 펀진과 KAIST 등 학계가 함께 참여하는 산·학 공동 연구 형태로 이루어진다.

KAI는 AI-전자기전 특화연구센터 개소를 위해 지난 3월 대전 연구센터를 개방하고, 항공기체계 종합 기업으로서 항공전자 전문기업 한화시스템, AI 강소기업 펀진과 협력하고 있다. KAI는 한국형 전자기전 항공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공중전투체계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차세대 전자기전 항공기(Electronic Warfare Aircraft)는 국가안보와 직결된 전략자산으로, 해외 기술 이전이 사실상 불가능한 핵심 기술이다. 이에 KAI는 E-737 AWACS, 백두2차 사업 등의 항공기 개조 개발 기술을 활용하여 원거리 전자전기 개발을 추진하고, KF-21 호위형 전자전기 및 유무인복합체계 기반의 근접형 전자전기 개발을 위한 한국형 전자기전 기술 로드맵을 수립해 기술 자립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KAI 대표이사 차재병 부사장은 “미래 전장을 대비하기 위해 AI, 상황인식, 자동 대응 등 인지 기반 전자기전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며, “AI 전자기전 특화센터를 중심으로 산·학·연이 힘을 합쳐 국내 요소기술을 확보하고 전자기전 항공무기체계 기술 자립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전국매일신문] 박종봉기자

bjb@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