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북한이나 중국 쪽 잠수함 추적이 제한된다”며 핵추진 잠수함 연료 공급을 요청한 것과 관련, 통역은 이를 “다른 국가들의 활동에 대응하기 어렵다”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라를 뜻하는 게 아니라 “북쪽, 중국 방향의 해역에서 출몰하는” 잠수함 활동을 의미한 것이라는 대통령실 해명과도 다른 셈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확대 오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핵(원자력)추진 잠수함 연료를 우리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대통령께서 결단해 주면 좋겠다”고 제안하면서 “디젤 (추진)잠수함이 잠항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북한이나 중국 쪽 잠수함들 추적 활동에 제한이 있다”고 말했다. 언론에 공개되는 모두발언을 통해 핵 잠수함 도입을 공식화하면서 북한과 중국을 거론한 것이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7시 53분 언론 공지를 통해 “해당 표현은 단순히 북쪽, 중국 방향의 우리 해역 인근에서 출몰하는 잠수함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언급한 ‘북한 중국 쪽 잠수함’이 특정 국가의 잠수함을 지칭한 것이 아니라는 설명이었다. 이 대통령의 발언이 외교 갈등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단 우려가 제기되자 해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백악관 영상 등을 보면 정상회담 당시 동시통역으로 트럼프에게 전달된 이 대통령의 발언은 대통령실의 설명과 다르게 읽힐 여지가 있다. 회담 당시 통역은 해당 발언을 “디젤 잠수함으로는 다른 나라들의 해저 활동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대응할 수 없다(They can not really effectively monitor and counter any undersea activities from other countries)”고 번역해 전달했다. 그러면서 역내 활동을 언급했는데, 트럼프에겐 해당 지역에서 해저 활동하는 국가, 즉 중국이나 러시아로 인식됐을 가능성이 상당하다. 통역이 국명을 댄 것은 아니지만, 이는 “특정 국가의 잠수함을 지칭한 것이 아니다”라는 대통령실 설명과는 결국 맞지 않는 셈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저희 기술로 재래식 무기를 탑재한 잠수함을 여러 척 건조해서 한반도 동해, 서해에 해역 방어 활동을 하면 미군의 부담도 상당히 많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라고도 했다. 대중 견제 동참을 원하는 미국의 요청에 호응하는 취지의 발언으로 읽힌다. 이에 대해 통역은 “순찰 및 기타 활동을 제공함으로써(by providing the patrol and other activities)”란 표현을 썼는데 한국이 핵잠을 운영하며 수행할 군사 활동의 폭이 더 넓어질 수 있단 여지를 남겼다는 해석이 나온다.




![[속보] 북한, 트럼프 방한일에 “어제 서해상에서 전략순항미사일 시험발사”](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0/29/rcv.YNA.20251029.PYH2025102900500004200_P1.webp)
![[뉴스핌 이 시각 PICK] 트럼프 "韓 핵추진 잠수함, 美 필리조선소서 건조" 外](https://img.newspim.com/news/2025/10/30/2510300745157970.jpg)

![[속보] "트럼프, 韓 핵추진잠수함 필요성 공감…후속협의 제안"](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9/75b8148b-ae13-49a5-bc3d-d0545d574f9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