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서 수하물 보안검색 엑스레이 이미지 미국으로 전송
미국에서 원격 검색 후 이상 없으면 연결 항공편으로 바로 이동
미국 내 환승절차 빨라져… 승객편의 향상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앞으로 인천공항을 출발해 하츠 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다른 공항으로 환승할 때 '짐 없는 환승'이 가능하다. 위탁수하물을 찾아서 다시 부치는 번거로움 없이 곧바로 연결편에 탑승할 수 있다.

13일 국토교통부는 한미 양국 간 위탁수하물 원격 검색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인천-애틀랜타의 경우, 통상 1시간 30분가량 소요되던 환승시간이 1시간 10분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간 애틀랜타 공항 환승 시, 갈아타는 항공편으로 수하물이 연결되지 않아 승객이 짐을 찾아 세관검사와 수하물 임의개봉 검색 등을 통과하고 환승 항공사의 체크인카운터에서 짐을 다시 맡겨야 했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고자 국토부와 미국 교통보안청(TSA), 관세국경보호청(CBP)은 2020년부터 첨단 항공보안 기술을 활용한 위탁수하물 원격검색(IRBS) 시스템 도입을 추진해왔다.
인천공항에서 실시한 수하물 보안검색 엑스레이 이미지를 미 측에 공유하면, 미 공항에서는 항공기가 도착하기 전 원격으로 검색하고 이상이 없는 수하물은 연결 항공편에 바로 환적시키는 방식이다. 출발공항이 정확하고 선명한 보안검색 결과를 수집하고, 보안성이 확보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이를 안정적으로 전송해야 운영이 가능하다.
인천공항은 3차원 정밀 영상검색이 가능한 최첨단 수하물 검색장비(EDS)를 보유 중이다. 고정밀·고품질 이미지를 손상 없이 자동 전송 가능한 시스템을 수년간의 개발 끝에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해당 이미지가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령에 따라 안전하게 전송되도록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도 시스템 개발·구축 과정에 참여했다.
인천공항은 호주 시드니공항과 영국 히드로공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미국과 위탁수하물 원격검색을 시행하는 공항으로서 국제적 위상을 한 차원 높였다. 현재 인천-애틀랜타 노선은 대한항공에서 하루 1편, 델타항공에서 하루 2편을 운항하고 있다. 지난해 해당 항공편을 이용한 총 28만4306명 중 애틀랜타 공항에서 환승한 승객은 16만8799명으로 전체 탑승객의 약 59.4%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대한항공과 델타항공도 인천공항의 원격검색 시스템 개발 전 과정에 참여하며, 시스템 검증과 시범운영에 기여했다. 이달 13일 수하물 원격검색이 처음 적용되는 항공편에 대해선 탑승객 전원에게 소정의 기념품을 제공하는 기념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번 한미 양국 간 위탁수하물 원격검색 시행은 한국 항공보안 신뢰도를 드높이고 인천공항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앞으로도 인천공항이 세계 항공보안 기술을 선도할 수 있도록 보안당국 및 항공사와 협력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