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등에서 사기와 인신매매 등을 벌인 주범으로 지목되는 '프린스그룹'의 자금 세탁에 대만 은행 10곳이 활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13일 중국시보와 연합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금융감독위원회(FSC)는 전날 입법원(국회) 재정위원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펑진룽 FSC 위원장은 전날 프린스그룹 사기와 자금 세탁 관련한 여야 입법위원(국회의원)의 질의에 대해 "관련 조사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달 14일 프린스그룹에 대한 미국의 제재 통보 다음 날 검사국 직원을 투입해 프린스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시중은행 10곳의 계좌 60개를 동결하고 조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은행국 직원을 전체 시중은행에 투입해 현금흐름을 조사했다고 덧붙였다.
소식통은 프린스그룹의 계좌가 개설된 이들 시중은행 10곳이 지난 2019년부터 7년 동안 총 52건의 비정상 거래를 파악해 당국에 보고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아직도 주택을 이용한 자금세탁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다른 소식통은 프린스그룹이 자본금 310만대만달러(약 1억4000만원)로 대만에 설립한 회사가 2억대만달러(약 94억3000만원)를 대출받았다면서 대출 경위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 한 야당 의원은 시중은행이 대규모 자금 및 의심스러운 거래에 대한 신고 의무를 다했음에도 이번 사건으로 자금세탁 및 방지 시스템의 허점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앞서 미국 재무부는 지난달 14일 프린스그룹을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규정, 146건의 제재를 시행하고 소유주 천즈 회장을 온라인 금융사기와 자금세탁 등의 혐의로 기소했다.
대만 타이베이 지방검찰도 국가안보 관련 범죄 등을 수사하는 법무부 산하 조사국, 내정부 형사경찰국 등과 함께 프린스그룹과 천즈 회장에 대한 수사에 나섰다.
수사당국은 지난 4일 47개 조를 편성해 관련 장소를 동시에 압수수색한 결과 피의자 25명을 체포했다. 또 고급 차량 26대와 거액의 잔액이 있는 은행 통장 60여개 등 총 45억2천766만 대만달러(약 2117억원) 상당의 자산을 압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우리나라 경찰도 프린스그룹에 대한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한 상태다. 앞서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은 재외국민 실종·납치·감금 사건에 대응하는 전담 TF(태스크 포스)팀을 꾸렸다. 박정보 서울경찰청장은 3일 “캄보디아 사태와 관련해 24건을 내사 중”이라고 밝혔다.
TF팀의 수사 대상은 프린스 그룹의 서울사무소 등 국내 거점을 비롯해 자금 세탁처로 알려진 후이원 그룹의 국내 환전소, 취업 사기 등 범죄조직과의 연관성이 있어 보이는 유인 광고글이 올라온 텔레그램 채널 두 곳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