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1일 취임 100일을 맞이한 가운데 온라인 민심이 주목한 화두는 민생 경제와 외교 현안으로 모아졌다. 여권 내부에서도 이견을 보였던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 문제와 한·미 관세 협상 후폭풍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여야 간 3대 특검법 개정안 협상 과정에서 벌어졌던 여당 투톱 간 미묘한 신경전도 여론의 눈길을 끌었다.

14일 서울경제신문이 소셜네트워크(SNS)사의 텍스트를 빅데이터로 분석해주는 ‘썸트렌드’를 통해 8일부터 12일까지 ‘이재명 100일’ 키워드에 대한 연관어를 살펴본 결과 경제(2943건), 미국(2772건), 정책(2621건), 투자(2105건), 주식(2094건), 성장(2037건), 코스피(1817건), 대주주(1745건), 양도세(1589건), 트럼프(1224건) 등이 검색어 상위권을 차지했다. 대체적으로 경제·외교 분야를 연상케 하는 단어들이 높은 순위에 올랐다.
실제로 이 대통령도 지난 11일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두 분야에 대한 정부의 성과와 비전을 알리는 데 메시지를 집중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00일을 짧게 규정하자면 ‘회복과 정상화를 위한 시간’”이라며 “신속한 추경, 민생 회복 소비 쿠폰 지급에 힘입어서 소비심리가 7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회복되고 각종 경기 지표들도 상승으로 반전되고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코스피 지수는 3300선을 넘어서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주식시장을 포함한 자본주의의 핵심, 심장이라 할 수 있는 금융시장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G7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한일 정상회담, 한미 정상회담까지 숨 가쁜 날들을 이어왔다”고 자평했다.
이 대통령은 개인 투자자들의 반발을 샀던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 강화안에 대해서도 “굳이 고집할 필요가 없다”며 여론을 의식한 듯 한발 물러선 태도를 보였다. 한미 관세 후속 협상과 관련해서는 “이익이 되지 않는 사인을 왜 하나. 앞으로 한참 더 협상해야 한다”고 미국 측의 일방적인 압박에 국익을 최우선으로 두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이 대통령의 자화자찬이 무색하게 취임 100일과 관련해 긍정보다 부정적 기류가 강했다. 조사 기간 긍정 언급량은 4431건(27.6%)에 머문 반면, 부정 언급량은 두 배를 웃도는 1만1061건(69%)으로 집계됐다. 특히 기자회견이 열렸던 11일에만 절반에 이르는 5204건의 부정적 검색어가 집중적으로 몰렸다. 구체적인 키워드로 보면 반발, 갈등, 폭주 등이 눈에 띄었다. 3대 특검법 개정안 통과 과정에서 불거진 잡음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16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앞둔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과 관련한 ‘체포’ 키워드도 검색어 순위 상단에 자리 잡았다.
앞서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지난 10일 3대 특검법 개정안에서 추가로 수사 기간을 연장하지 않고 인력 증원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법안을 수정키로 합의했다. 그러나 합의안을 놓고 당 강경 지지층의 반발이 이어지자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수용 불가’ 방침을 통보했고, 여야 간 협상 내용에 대해선 ‘모르쇠’ 반응을 보였다. 모든 책임과 비난을 떠안게 된 김 원내대표가 “정청래에게 공개 사과하라고 하라”고 발끈하며 급기야 집권 여당 투톱 간 충돌 사태가 벌어졌다. 논란이 확산하자 김 원내대표는 전날 “심려 끼쳐 죄송하다”고 수습에 나섰지만, 이 대통령 100일 축하상에 여당 내분이 올려지는 모양새가 됐다.

이를 두고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이재명이 취임 100일을 자축하면서 축하상에 올린 건 특검법과 국회의원 체포동의안이었다”며 “이것은 국민의힘이 아닌 국민에 대한 선전포고”라고 직격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