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재팬? 언제 적 얘기인데"…'화려한 부활' 日 맥주, 1분기 수입맥주 '왕좌'

2025-05-13

일본 맥주가 올해 1분기 수입 맥주 시장에서 1위에 올랐다. 한때 '노 재팬'(일본 제품 불매운동)으로 직격탄을 맞기도 했으나, 소비자 정서 완화와 중국 맥주 추락이 맞물리며 일본 맥주가 국내에서 다시 활기를 찾는 모양새다.

13일 관세청 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일본 맥주 수입액은 약 679억 6811만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수입액 기준 1위를 유지했다. 일본 맥주는 2018년 1050억원 규모로 정점을 찍은 뒤, 2019년 불거진 ‘노 재팬’ 여파로 2020년 그 규모가 77억원대로 급감했다. 이후 2022년부터 반등세를 타기 시작해, 2023년에는 연간수입액 약 749억원을 기록하며 1위를 되찾았다.

업계에서는 2023년 발생한 '칭따오 사태'가 반사이익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칭따오 맥주'는 국내 중국 맥주 수입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해당 사태의 충격파가 컸다.

2023년 중국 산둥성 핑두시의 칭따오 맥주 공장에서 한 남성이 맥주 원료인 맥아에 오줌을 누는 장면이 확산하면서 위생 문제가 불거진 탓이다. 이러한 여파로 2023년 1분기 175억원 규모로 수입 맥주 1위를 지켰던 중국 맥주는 올해 1분기 4위에 머물렀다.

이런 흐름 속에서 일본 맥주는 본격적인 '마케팅 드라이브'에 돌입했다. 국내 일본 맥주 수입 1위 업체인 롯데아사히주류는 '고품질'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지속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칭따오 사태를 여파를 고려해 품질을 앞세우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롯데아사히주류 관계자는 "수입맥주 브랜드 간 매출 편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며 "한국 소비자들의 품질에 대한 기대가 높은 만큼, 고품질 제품 제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삿포로 일본 맥주를 수입하는 매일홀딩스의 자회사 엠즈베버리지도 이러한 흐름을 타고 국내 마케팅 강화에 나선다. SPC·팀홀튼 출신의 마케팅 전문가를 최고마케팅책임자(CMO)로 영입하고 국내에 첫 생맥주 펍 매장을 선보일 것으로도 알려졌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