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딥시크'와 같은 혁신적 인공지능(AI) 기업을 육성하려면 국가 차원의 지원과 인재 양성, 규제 완화가 필수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2일 AI 분야 주요 전문가들은 중국 딥시크 사례가 단순히 저비용, 고효율 AI 모델이 가능하다는 것을 넘어서 우리나라에서도 유사 성공사례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는 지난 20일 복잡한 추론 문제에 특화한 AI 모델 'R1'을 새로 선보였다. 이는 한달 전 선보인 거대언어모델(LLM) 'V3'을 개선한 모델로, 딥시크는 V3와 R1이 모두 미국의 주요 AI 모델보다 성능이 더 낫거나 비슷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V3 모델에 투입된 개발 비용은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로 알려졌는데, 이는 미국 빅테크 기업이 AI 모델 개발에 투자한 비용의 10분의 1수준이다. 특히 비교적 저성능의 칩과 낮은 비용으로 오픈AI 등 주요 AI 모델과 유사 성능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우리 업계에 주는 시사점이 적지 않다. 우리나라에도 독창적 AI 서비스가 나올 수 있는 긍정적 신호를 보여줬다는 점에서다.
염재호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은 “딥시크와 같은 사례가 한국에서도 충분히 나올 수 있다”며 “AI는 여전히 발전 초기 단계이며, 한국이 자체적 '소버린 AI'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면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염 부위원장은 국가AI위원회에서도 국가AI컴퓨팅센터 등의 인프라 및 연구개발(R&D)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병탁 서울대AI연구원장은 딥시크의 사례의 가장 큰 교훈은 결국 인재가 핵심이라는 점이라고 봤다. 장 원장은 “AI는 천재 몇 명이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의 고급인재 양성과 생태계 조성이 중요하다”며 “AI 인재 양성과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보다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명주 AI안전연구소장은 “AI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인재들이 모여야 더 빠르게 발전할 수 있다”며 “동남아시아, 인도, 중동 등의 해외 인재를 국내로 유치할 수 있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생성AI스타트업협회장)는 “딥시크의 등장은 AI 스타트업들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한국 AI 기업들은 규제 문제로 인해 성장의 발목을 잡힐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AI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분야이므로, 지나치게 엄격한 규제보다는 혁신을 지원하는 유연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