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현장서 '30년 된 진화헬기' 추락 노후화 알면서도 정부·국회 손놓아

2025-03-26

경북 산불 진화 헬기 추락 사고로 인해 노후화된 헬기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정부가 그동안 대형 산불이나 사고 때마다 지적된 노후 헬기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번 사고도 ‘예견된 인재’라는 비판이 불가피하다.

26일 산림 당국에 따르면 이날 경북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한 야산에서 산불 진화 작업을 벌이던 헬기 1대가 추락했다. 이 사고로 헬기에 타고 있던 기장 1명이 숨졌다.

추락한 헬기는 강원도 인제군 소속의 담수 용량 1200ℓ의 S-76 기종 임차 헬기다. 헬기는 1995년 7월 생산돼 30년가량 운항했다. 당국은 사고 원인을 파악하기 전까지 진화 헬기의 운영을 일시적으로 중단했다.

그동안 정치권 등에서는 대형 산불 대응을 위한 장비가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대표적인 부족 장비로 진화 헬기가 꼽힌다.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산림청의 진화 헬기 가운데 기체 나이(기령)가 20년을 초과한 헬기는 70%(33대)다. 기령이 30년을 넘은 헬기도 25%(12대)에 이른다. 노후 헬기는 정비 필요성을 높이고 가동률을 떨어뜨려 효과적인 산불 진화와 예방을 막는다. 2022년에도 산불 감시를 하던 헬기가 추락해 5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당시 헬기는 1975년 생산됐다.

이번 산불이 일어난 경남도가 운영하고 있는 임차 헬기는 8대다. 경남도는 도내 18개 시군을 7개 권역으로 나눠 헬기 1대씩을 뒀다. 봄철 산불 가능성에 대비해 1대를 추가로 빌렸다. 하지만 대형 산불을 막기에는 진화 헬기가 턱없이 부족했다. 소방 당국에 따르면 현장에 투입된 진화 헬기는 30대 안팎이다. 경남도가 운영하는 헬기의 4배가 넘는다.

정부는 진화 헬기 대응 체계 강화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올 1월 산림청의 산림재난방지계획을 보면 진화 헬기를 ‘핵심 진화 자원’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담수 용량 1만 500ℓ의 대형 헬기의 추가 확충 대수는 1대, 해외 임차 헬기(2만 ℓ)는 3대에 그쳤다. 주야간 진화 임무 수행이 가능한 국산 수리온 헬기(2000ℓ)도 2대다. 기존 러시아산 헬기는 부품 교체 등을 이유로 29대 중 21대만 가동할 방침이다.

국회 역시 노후 헬기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설훈 민주당 의원은 2023년 산림청의 헬기 기령과 부품 운영 기한을 제한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하지만 이 법안은 제대로 된 논의 없이 임기 만료로 폐기됐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