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대만 유사시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발언하면서 중국과 일본의 갈등이 첨예해지고 있다.
중국은 자국민에게 일본 여행을 자제하라고 공식 권고하고, 일본 유학 예정자에게도 위험 고조를 경고하면서 신중하게 검토할 것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17일 도쿄 주식시장에서는 인바운드(방일 관광객) 관련 종목이 급락하고 있다. 일본과 중국 간 외교 갈등이 심화되면서 관광 소비가 타격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시장에서 즉각 반영된 것이다.
◆ 시세이도·유니클로 등 일제히 급락
중국의 여행 자제 권고가 전해진 이날 인바운드 대표 종목들은 크게 밀렸다. 일본의 유명 화장품 업체인 시세이도는 장중 한때 11% 급락하며 4월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백화점 체인인 이세탄 미쓰코시홀딩스(11.4%↓), 유니클로 브랜드를 전개하는 패스트리테일링(5.6%↓), 무인양품으로 알려진 료힌케이카쿠(9.4%↓), 도쿄디즈니랜드를 운영하는 오리엔탈랜드(5.1%↓), 일본항공(JAL. 3.9%↓) 등 호텔·항공·소매·백화점 등 관광 수요와 직결되는 업종 전반이 동반 약세를 나타냈다.
인바운드 관련 종목들이 일제히 하락하면서 닛케이225평균주가지수도 장중 한때 5만엔 선 밑으로 내려서기도 했다.

◆ 여행 취소에 불매 운동까지 겹치면 '직격탄'
시세이도는 중국 사업 매출 비중이 25%, 면세 매출이 11%에 달하는 대표적 인바운드 의존 기업이다. 일본 여행 취소가 확산되거나 중국 내 불매 운동이 재점화될 경우 실적 회복 속도가 다시 둔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2012년 센카쿠 열도 문제로 중일 갈등이 격화했을 때, 2023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둘러싼 갈등 때에도 시세이도 등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 움직임이 벌어졌던 전례가 있다.
중국발 관광객은 코로나19 이후에도 전체 일본 방문객의 30%에 육박하는 핵심 수요층이다. 노무라증권은 중국인 방문객이 단기적으로 '제로'가 될 경우, 일본의 여행수지가 월간 2000억엔(약 1조9000억원)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상황이 장기화되면 연간 1.5% 수준의 엔화 약세(엔저)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다만 JAL과 ANA홀딩스 등 항공 업계는 "일본–중국 노선 예약에는 아직 변동이 없다"고 밝혀 단기적으로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goldendog@newspim.com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번복에…엔켐 12% 급락 [이런국장 저런주식]](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MCEWQD_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