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금융당국이 최근 증시 급등으로 인한 과열을 억제하기 위해 공매도 제한 완화 등을 검토하고 있다. 당국의 개입 가능성이 부각되자 중국 증시는 5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4일 블룸버그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당국이 증시 과열 억제 방안을 다각도로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거론되는 대책에는 공매도 규제 완화와 함께 투기적 거래 억제 등 개인투자자 보호 조치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 증시는 올 4월 이후 주요 지수들이 20% 넘게 오르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왔다. 상하이종합지수의 경우 지난달 18일 3720선을 넘어서며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당국은 2015년의 증시 급등락 사태가 재현되는 것을 막고 경기와 소비 심리를 안정적으로 떠받칠 수 있게 완만한 상승세를 유도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2015년 당시 5000선을 넘어서던 상하이종합지수는 거품이 꺼지면서 40% 이상 폭락한 바 있다.
현장에서 이미 일부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는 전언도 있다. 당국은 차입자금이 증시에 유입되는지를 점검하도록 금융권에 요구했고 증권사에는 24시간 신규계좌 개설 마케팅 자제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진다. 일부 금융사는 이미 마진거래 레버리지 축소에 나섰다.
이 같은 규제 검토 소식에 이날 중국 증시는 일제히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다. 본토 대형주 중심인 CSI300 지수는 2.12% 하락했고 홍콩 항셍지수도 1% 이상 떨어졌다.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과학혁신판(科創板·커촹반)50지수는 5% 넘게 빠졌다. 당국의 규제 강화 가능성과 차익 실현 움직임이 겹치며 낙폭이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베이징에서 대규모 열병식을 통해 중국의 야망을 드러낸 다음 날 중국 증시는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