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혼게이자이신문, 배경엔 ‘한류’와 ‘경제력’
최근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 국제결혼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그 배경에는 높아진 한국의 경제력과 꾸준한 한류 인기가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13일(현지시간)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9년과 2024년을 비교하면, 한국인이 중국·필리핀·베트남 국적자와의 결혼은 줄어든 반면 일본인과의 혼인은 13%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한국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의 결혼 건수는 전년 대비 40% 증가한 1,176건으로,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인 여성과 일본인 남성 간의 결혼은 같은 기간 147건으로, 10년 전과 비교해 5분의 1 수준에 그쳤다.
닛케이는 이러한 변화의 배경으로 한일 간 경제력 격차 축소를 짚었다. 보도에 따르면 “2010년대 중반 이후,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일본인 여성들의 한국 이주 사례가 증가했으며, 그 사이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한국이 일본을 추월하면서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의 소득 수준도 유사해졌다”고 분석했다.
한류 역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신문은 “2000년대 초반부터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끈 한국 드라마 '겨울연가' 등을 통해 한국 문화를 접한 세대가 자녀나 손자가 한국인과 결혼하는 것을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전했다. 한 웨딩업체 관계자도 “결혼 전부터 한국 문화를 잘 알고 있는 일본인 여성도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1970~1980년대에는 일본의 경제력과 농촌 일손 부족 등으로 한국인 여성이 일본인 남성과 결혼해 일본에 정착하는 사례가 많았고, 1980~1990년대에는 통일교 합동결혼을 통해 일본인 여성이 한국으로 건너오는 경우가 늘어난 바 있다. 이러한 흐름과 달리 최근에는 일본인 여성이 한국에 직접 관심을 갖고 자발적으로 결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홍익대학교의 오이카와 히로에 교수는 “혼인을 계기로 한국에 정착한 일본인 여성 중 30~40%는 한국에 대한 동경과 삶의 보람을 주된 이유로 꼽는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2019년 한국 내 일본 제품 불매운동 당시, 일본인 여성의 95%가 불안감을 느꼈다”며 “이들은 한일 관계가 언제든 악화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닛케이는 이러한 흐름을 “민간 외교의 최전선”이라 표현하며, 결혼을 통한 양국 간 교류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정치적·외교적 안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