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원전, 제2의 마스가 프로젝트로 부상…한미 정상회담에 촉각

2025-08-21

오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원전 협력이 주요 의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지난 1월 양국이 체결한 '한·미 원자력 수출 및 협력 원칙 약정(MOU)' 후속 조치로 한국수력원자력과 웨스팅하우스의 합작법인(JV) 설립이 가시화할 전망이다. 또 양국 정부가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에 착수하면서 양국 간 원전 협력이 새로운 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21일 원자력업계에 따르면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오는 23일 미국을 방문해 웨스팅하우스 고위 관계자들과 만난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뤄지는 본격적인 원전 협력 행보다.

트럼프 행정부 역시 자국 원전 확충을 위해 우리나라의 적극적 참여를 희망한다는 뜻을 우리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의 합작법인 구상은 단순한 기술 협력을 넘어 '팀 코러스(Team Korea+US)' 체제를 구축해 글로벌 수주전에 공동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웨스팅하우스의 원천 기술과 한수원의 시공 역량을 결합하면 미국·유럽 등 진입 장벽이 높은 시장 진출이 가능하다. 체코 원전 수주 과정에서 맺은 계약에 따라 지식재산권 분쟁과 수출통제 소송 같은 갈등 여지도 사라졌다.

업계 관계자는 “조인트벤처를 만들면 미국 정부 신고 절차도 간소화돼 시장 진입 장벽이 크게 낮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2050년까지 원전 설비를 400GW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내놓고 우리 기업의 참여를 희망한 것도 협력 확대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미국은 신규 인허가 기간 단축과 원전 10기 신규 착공 계획을 발표했지만, 자국 내 공급망 붕괴로 시공 능력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조선 협력 프로젝트 'MASGA'에 이어 원전이 양국 전략 협력의 새로운 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정부는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논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현행 협정은 우리나라가 미국 동의 없이는 20% 미만 저농축 우라늄만 생산할 수 있고,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는 전면 금지돼 있다. 핵연료 주기 완성을 위해서는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번 기회에 우리가 요구할 수 있는 것을 요구해 원전 산업을 더 활발하게 만들겠다”고 말했다.

다만 고농축 우라늄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에 따른 군사적 전용 우려는 협상의 최대 걸림돌이다. 미국은 한국 내 자체 핵무장 여론에도 주목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임시저장소 포화 해소, 환경적 필요성을 내세워 '평화적 이용' 논리로 협상에 임한다는 구상이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자체 핵무장이나 잠재적 핵능력 강화 같은 말은 협상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며 산업·환경적 필요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