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원 양자소재 기반 협력 강화…큐비트 제어·양자센싱 기술 융합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캐번디시 연구소에 글로벌 파트너랩을 조성하고 현판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IBS와 케임브리지대는 이 파트너랩을 공동 연구의 중심 거점으로 삼고 양자 소재와 소자 관련 기술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차세대 양자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본격적인 공동연구를 시작한다.
이번에 설립된 글로벌 파트너랩은 IBS가 올해부터 도입한 새 국제협력 플랫폼이다. 세계 유수 연구기관에 IBS 산하 연구단이 협력실을 직접 설치해, 상호보완적 역량을 바탕으로 장기적 연구 협업을 이어가는 방식이다.
IBS는 내부 선정 절차를 통해 올해 총 3개 파트너랩을 구축했으며 케임브리지대 파트너랩은 ‘이차원 양자 헤테로구조체 연구단’이 주도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스핀 큐비트 제어와 자기 양자 결정 구조 연구 등 난이도 높은 정밀 양자 제어 기술 개발이 핵심 과제로 추진된다.
연구단의 2차원 소재 제작 및 구조체 성장 역량과 케임브리지대의 큐비트 정밀 제어·측정 및 양자센싱 기술이 결합해 새로운 양자정보기술 구현을 겨냥한다. 연구 협업은 캐번디시 연구소, 그래핀센터, 헨리 로이스 연구소 등과 함께 진행된다.
파트너랩은 양국 연구진이 상시로 소통하며 협력할 수 있는 전진기지로 기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첨단 양자 제어 기술의 내재화와 실질적 기술 이전이 이뤄지고, 양자 컴퓨팅과 센서 기술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현판식에는 캐번디시 연구소장 메테 아타투레, 그래핀센터장 안드레아 페라리, 헨리 로이스 연구소장 매니쉬 초왈라가 자리했으며, IBS 측에서는 신현석 단장, 강동우 책임정책연구원, 박병현 주영국 과학관이 참석했다.
아타투레 소장은 “IBS와의 협업은 양자기술 연구에서 서로의 강점을 결합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라고 전했다,
노도영 IBS 원장은 “글로벌 파트너랩은 단기 방문이 아닌 장기적 협력 구조를 만드는 IBS의 새 전략”이라며 “케임브리지대와의 시너지를 통해 기초과학과 인재 양성 모두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IBS는 케임브리지대 외에도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은 미국 보스턴 어린이병원·하버드의대, 첨단 반응동역학 연구단은 스위스 폴 쉐러 연구소와 각각 파트너랩을 운영하고 있다.
[전국매일신문] 정은모기자
J-em@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