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메신저 넘어 청소년 이용률 1위…절반은 생성형 AI 쓴다

2025-04-01

숏폼(짧은영상)이 메신저를 제치고 청소년이 평소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매체로 꼽혔다. 청소년의 절반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쓰는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가족부는 1일 이러한 내용의 '청소년 매체이용·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9~11월 전국 초(4~6학년)·중·고교생 1만5053명을 온라인으로 조사한 내용이다. 이 조사는 2년 간격으로 이뤄진다.

최근 1년간 청소년들의 이용률이 가장 높은 매체(중복응답)는 숏폼 콘텐트(94.2%)로 집계됐다. 초등학생 1위, 중·고교생 2위로 고르게 상위권을 나타냈다. 그다음은 인터넷·온라인 메신저(92.6%), 인터넷 개인방송·동영상 사이트(91.1%)였다.

김지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박사는 "연령이 낮아질수록 (동영상) 긴 것을 보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2010년 이후 태어난 이른바 '알파세대'는 텍스트(문자)보다 더 짧고 압축적인 영상이 소구되는 편"이라면서 "청소년기 학습 등에 미칠 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청소년 절반(49.9%)은 챗GPT 같은 생성형 AI를 사용한다고 밝혔다. 숏폼·AI는 이번 조사에 새로 포함된 항목이지만, 이미 청소년 일상 깊숙이 들어와 있다는 의미다.

1년 새 온·오프라인으로 각종 폭력을 겪었다고 밝힌 청소년 비율은 22.6%였다. 성폭력 피해율은 5.2%로 나왔다. 유형별로 보면 폭력은 언어폭력, 성폭력은 말이나 눈짓 등을 통한 성희롱이 제일 많았다. 둘 다 '같은 학교 다니는 사람'이 가해자인 경우가 주를 이뤘다.

중·고교생에게 출입·고용 금지 업소를 이용한 경험을 묻자 룸카페(12.6%)가 첫손에 꼽혔고, 멀티방, 비디오·DVD방이 뒤를 이었다. 최근 1개월간 음주와 흡연 경험률은 각각 12.1%, 2.4%로 나왔다. 담배를 구매할 때 편의점·슈퍼마켓 등에서 나이나 본인 여부를 미확인했다는 응답은 32.1%로 2022년(34.2%)보다 감소했다.

성인물이나 온라인 도박 경험은 줄어드는 양상이 뚜렷했다. 성인용 영상물을 이용했다는 청소년 비율은 26.5%로 2022년(47.5%)보다 21%포인트 급감했다. 성인용 간행물 이용률(11.2%)도 2년 새 12.9%포인트 떨어졌다. 중·고교생의 온라인 도박성 게임 경험률도 카드·화투 게임 2.7%, 인터넷 스포츠 베팅 1%로 같은 기간 각각 1.9%포인트, 0.6%포인트 감소했다.

김은형 여가부 청소년보호환경과장은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청소년 보호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라면서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사이버 도박으로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을 적극 발굴해 상담·치료받도록 연계하겠다. 특히 미디어 과의존 저연령화에 맞춰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이 초등 고학년 대상 시범캠프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