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개국 전문가 30여 명 참석…애플·지멘스 등 글로벌 기업도 참여
5G·6G 고주파 환경 대응 위한 전자파 내성시험 기준 개정 논의
한국이 주도 개발한 IEC 61000-4-41 국제표준 개정안도 주요 의제로 상정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가 오는 18일부터 21일까지 서울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강남에서 5G·6G 고주파 환경의 전자파 내성시험 기준을 논의하는 국제전기기술위원회 산하 'IEC/SC77B WG10' 국제회의를 공동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을 비롯해 캐나다, 미국, 독일, 프랑스 등 14개국 전문가 3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애플, 지멘스 등 글로벌 기업의 전자파 기술 담당자도 참여한다.
전자파 내성시험은 외부 전자파 간섭에도 장비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는지를 검증하는 절차로, 스마트폰·자율주행차·항공·철도 등 안전과 직결되는 산업 전반에 필수 기준으로 활용된다. 5G·6G 시대에는 광대역 고주파 사용이 늘면서 장비 간 간섭 가능성이 커져 고주파 환경에서의 내성 기준 강화가 국제적 과제로 떠올랐다.

우리나라는 2019년 광대역 신호에 대한 방사내성 시험방법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국제표준으로 최초 제안하고 개발을 주도해 왔으며, 이 표준은 2024년 11월 'IEC 61000-4-41'로 발간될 예정이다. 정부와 관련 기관은 이를 국내 전자파 적합성 기준과 국가표준으로 도입하기 위한 제·개정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6GHz 이하에서 100㎒ 이하 신호 대역폭을 기준으로 하던 기존 국제표준을 차세대 환경에 맞게 확장하는 개정 논의가 이뤄진다. 시험 주파수 상한을 6GHz 이상으로 확대하고 시험 신호 대역폭도 100㎒ 이상으로 넓히는 방안이 핵심 안건이다. 6G 장비와 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와 함께 근접 전자기장 내성시험 표준(IEC 61000-4-39) 개정도 논의된다. 6~40㎓ 범위 확장, 안테나 규정 개선, 측정 불확도 관련 부속서 추가 등이 포함된 개정안이 검토될 예정이다.
정부는 한국 주도의 국제표준이 채택될 경우 국내 시험·인증 기술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기업 수출 경쟁력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차세대 통신·전자·철도·항공 등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정창림 국립전파연구원장은 "고주파수 전자파 환경에 대응하는 표준은 첨단 산업 경쟁력과 직접 연결되는 핵심 요소로 이번 회의는 우리나라가 전자파 안전과 신뢰성 국제 기준을 주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산·학·연이 축적한 연구·기술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전자파 표준 선도국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


![[AI의 종목 이야기] 중국, '저공경제' 표준체계 구축하며 산업화 속도](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