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쓰는 과학자들
브라이언 클레그 지음
제효영 올김
을유문화사
한동안 과학고전을 추천해달라는 요청을 자주 받았다. 왜? 반문하면 여러 이유가 나온다. 가장 고약한 상황은, 권장도서 목록을 만드는데 대중과학서는 좀 그러니 고전으로 추천해 달라고 할 때다.
캐묻다 보면 십중팔구는 이상한 관념을 만난다. 과학은 보편적이고 객관적이니, 과학고전을 읽히면 보편과 객관의 정수를 체득하게 할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훌륭한 교육과정이라는 기대와 포부다. 무언가 원리와 정수에 착목한 점은 진일보한 것이지만, 넓디넓고 천차만별로 다양한 과학의 세계를 농축해서 주입하자는 발상은 반과학적이었다.
그 시절에 『책을 쓰는 과학자들』이 있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일단 이 책부터 읽으신 다음에 이야기하자고 내밀 수 있었을 터다. 두껍지 않은 분량에 과학과 과학책이 얼마나 다채롭고 변화무쌍한지 펼쳐 보이는 솜씨가 범상치 않다. 필사 시대(동아시아에선 목판 인쇄), 활자 및 동판 인쇄술 시대, 과학이 전문화하는 19세기, 더 이론화한 20세기, 대중과학책의 비중이 높아진 1980년대 이후 등 다섯 시기로 나누어 150권 이상의 과학책을 통해 과학의 분야별, 시대별 특징과 경향을 그려낸다.
둘째와 셋째 시기는 아름다운 도판들의 시대이기도 한데, 이를 다루는 책답게 보는 것만으로도 즐거운 그림들을 여럿 수록했다. 마지막 두 시대는 책 표지가 주로 소개되어 시각적 즐거움이 줄어들기는 하는데, 시대가 그러니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각각의 책에 대한 짤막한 이야기들을 모아서 짠 큰 태피스트리는 절로 수긍이 가는데, 개별 책에 대한 단평들은 색감이 제각기 다르다. 16세기~19세기 과학 고전 중 읽어본 책들에 대한 이야기는 '맞아, 그런 책이었지' 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문득 놀라서 찾아보니 지은이 브라이언 클레그는 50여권의 대중과학서, 논픽션 및 과학소설을 출판한 영국의 전문저술가란다. 학계 연구도 참고했겠지만 아무래도 직접 원전들을 펼쳐 보았던 것 같다
20세기 가장 거대한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한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에 대한 이야기도 책을 세심히 읽은 흔적이 여실하다. 카슨의 주장이 DDT 전면금지가 아니라 농업용 살충제로 사용하지 말자는 것이었단 점을 정확히 짚어낸다. 『침묵의 봄』은 책에 담긴 메시지가 격렬한 논쟁에 불을 지폈다는 점, 저자가 자기 전공 연구가 아닌 주제로 저술했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시를 연상할 정도로 뛰어난 문학성을 지닌 과학책이라는 점에서 획기적이었다.
마지막 두 시기의 책들에 대한 단평은 한국에서의 평가와 엇갈릴 때도 있다. 과학고전을 추천하라는 압박에서 탈출할 때 거리낌 없이 내세웠던, 그리고 다른 많은 과학애호가들도 존중하는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Cosmos』는 그저 성공한 책이라고만 묘사된다. 그보다는 19세기 독일 과학자 훔볼트의 『코스모스Kosmos』를 더 길게 다룬다. 현재까지의 역사적 영향력으로만 따지면 훔볼트의 책이 더 앞서지만(세이건은 훔볼트의 책을 본 따 책 이름을 지었다), 20세기 후반을 휩쓴 과학대중서를 이렇게나 짧게만 언급하는 점은 의아하다.
반면 인기 있는 올리버 색스의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에 대한 지적은 주의할 만하다. 환자들의 사례 이야기는 흥미 위주의 돌연변이 엽기쇼로 전락하기 쉽지만, 색스는 우리 뇌에 어떤 기능이 있는지를 설명하는 자료로만 환자 사례를 소개했기 때문에 타락을 피할 수 있었다고 평가한다. 색스가 타락할 저자라고는 생각할 수 없지만, 독자와 저자 모두 자극적인 소재를 흥미 위주로 다루는 책을 조심해야 한다는 판단은 옳다.
그렇다면 좋은 현대 대중과학서의 특징은 무엇일까? 지은이는 아웃사이더 노릇을 자처하는 두 물리학자를 소개한다. 리 스몰린의 『물리학의 문제』(국내 미출간)처럼 “끈 이론에 제기되는 우려와 이 이론의 단점까지도 일반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책이나 자비네 호젠펠더의 『수학의 함정』처럼 최신 이론들의 불확실성을 드러내는 책이야말로 과학의 정신을 제대로 살리는 과학책이란다. 의문을 품고 불확실성을 따져보려는 시도가 과학자다운 것이고, 독자도 그런 과정을 통해 과학이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더 깊이 이해하기 때문이란다.
고정된 과학고전 목록이 반과학적인 이유인 동시에, 동영상보다 앞뒤를 따져보기 쉬운 책이 앞으로도 유용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