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가 분수령"…돌아온 조국의 혁신당, 민주당과 합당?

2025-08-12

(의왕=뉴스1) 이승배 기자 = 자녀 입시 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혐의로 대법원으로부터 징역 2년 실형을 확정 받은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16일 오전 경기도 의왕시 서울 구치소로 수감되기 전 지지자들에게 주먹을 쥐어보이며 인사하고 있다. 사문서위조 및 행사, 업무방해, 청탁금지법 위반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조 전 대표는 지난 14일 대법원으로부터 징역 2년과 600만원의 추징 명령을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 받았다. 조 전 대표의 만기 출소 예정일은 오는 2026년 12월 15일이다. 2024.12.16/뉴스1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의왕=뉴스1) 이승배 기자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사면·복권을 계기로 더불어민주당과 혁신당의 합당설이 정치권에서 제기된다. 양당 사이에 정서적 장벽이 낮아 명분만 충분하다면 합당이 결코 불가능한 시나리오가 아니라는 분석이 있는 반면 대권 경쟁과 각종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합당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13일 정치권에서 민주당과 혁신당의 합당설이 제기되는 배경에는 양당이 정책 기조가 유사한데다 합당으로 얻을 실리도 분명하다는 데 있다.

혁신당은 제3당의 한계를 벗어나 민주당이라는 본류에 합류함으로써 주류로 설 기회를 잡고, 조 전 대표 역시 차기 대선 도전에 한 발짝 더 다가설 수 있다는 평가다. 민주당 입장에서는 합당을 통해 범여권 분열 이미지를 걷어내고 진보진영의 결집을 이룰 수 있다. 선거 구도를 여야 양강 체제로 단순화해 대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실익으로 꼽힌다.

박창환 장안대 특임교수는 머니투데이 더300(the300)과의 통화에서 "민주당과 혁신당의 당헌·당규나 정책 기조가 크게 다르지 않고, 여권 지지층에서도 분열돼 있는 상황을 달가워하지 않는다"며 "민주당과 혁신당의 합당에 실리가 분명하다는 것은 누구나 동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합당 논의의 불씨를 당길만한 분기점으로는 내년 6월 지방선거가 꼽힌다. 호남을 비롯한 주요 지역에서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한 만큼 이를 피하기 위한 방안으로 합당이 거론될 수 있다는 얘기다.

한 정치권 인사는 "내년 지방선거, 특히 호남에서의 선거는 민주당과 혁신당 모두 양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선거 성적에 따라 향후 정치 행보가 좌우될 것이고, 조국 전 대표도 대권 주자의 지위를 유지하려면 성적을 내야 한다. 호남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범민주계열 대선 후보는 역사상 없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입장에선 혁신당을 상대로 전통적 지지 기반인 호남을 지켜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지난해 4월 총선 비례대표 선거 당시 호남에서 46.9%를 득표한 혁신당은 민주당에 실질적 위협으로 여겨진다. 지난 4월 전남 담양군수 재선거에서도 혁신당 후보가 민주당 후보를 누르고 당선된 바 있다.

전남 해남·완도·진도를 지역구로 둔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전날 시사인 유튜브 방송 '김은지의 뉴스인'에서 "생각이 같고 이념이 같고 목표도 같다면 저는 혁신당과 민주당이 합당해서 지방선거와 총선, 다음 정권 재창출까지 해야 우리나라가 살 수 있다는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민주당 내부에도 합당을 부담스러워하는 시각도 있는 건 변수다. 여기에는 유력 대권 주자인 조 전 대표가 입당할 경우 기존의 당내 권력 구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민주당 한 중진의원은 "조 전 대표만큼 전국적 인지도를 갖춘 인물이 민주당엔 없는 상황"이라며 "검찰 수사와 재판에 이어 대통령 사면으로 복귀한 서사 역시 강력한 경쟁 자산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김병주 민주당 최고위원도 지난 11일 KBS라디오 '전격시사'에서 "12·3 내란 이후 민주당과 혁신당 등 진보 진영이 똘똘 뭉쳐서 윤석열을 탄핵하고 이재명 정부를 탄생시켰다. 저는 (혁신당을) 동지개념으로 보고 있다"면서도 "(합당은)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선거를 준비 중인 인사들이 양당에 포진해 있어 합당에 대한 반발이 작지 않을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현재 민주당은 국회의원 선거구 254곳에 지역위원장을, 혁신당은 기초지방자치단체 선거구 기준으로 전국 45개 지역에 49명(공동지역위원장 포함)의 지역위원장을 두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미 출마를 준비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합당을 통해 해당 지역의 구도가 재편되는 걸 바라지 않는다"고 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