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테크 산업 육성 논의 본격화…연말 법 시행 앞두고 민관 총출동

2025-07-23

푸드테크가 식품산업 구조 혁신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연말 '푸드테크산업법' 시행을 앞두고 국회에서 정부와 산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육성 전략을 논의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23일 '대한민국 식품산업 발전방안' 토론회를 열고 기술 기반 식품산업 육성 방향을 점검했다. 정부는 푸드테크를 기후위기 대응과 농업 고도화를 위한 전략산업으로 보고 인력 양성·클러스터 조성·창업 지원 등 정책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대체식품, 업사이클링 식품, 식품 로봇 등 기술 기반 산업이 기후변화 대응과 함께 새로운 산업 생태계와 일자리 창출의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홍문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결 구조를 강조했다. “두 산업은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으며 기후위기라는 공동 과제를 앞에 두고 반드시 함께 움직여야 한다”며 “농가와 식품기업을 잇는 상생협력의 가교가 되어 기술 융합 기반의 혁신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어기구 국회 농해수위 위원장은 푸드테크를 식품산업의 새로운 도약 기회로 평가했다. 그는 “푸드테크 산업이 한류와 함께 세계 시장에서 견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면서 “이번 토론회가 식품산업의 한 단계 도약을 위한 실질적인 지혜가 모이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푸드테크산업법 시행 이후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실행력 확보가 핵심 과제라고 입을 모았다. 지역 클러스터 연계, 예산 확보, 규제 정비 등 뒷받침 체계 없이 법 제정만으로는 산업 생태계가 작동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제도화 이후의 이행 전략이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봤다.

박기환 KREI 선임연구위원은 “푸드테크산업법 제정으로 발전 기반은 마련됐지만,산업 수요 기반 지원과 지역 연계 전략이 병행되지 않으면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한류 콘텐츠와의 연계를 통해 수출 확대를 도모하고, 재외공관과 국제행사를 활용한 글로벌 홍보를 강화할 방침이다. 산업계는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전통식품과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수출시장 개척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샘표, 오리온, 세준푸드 등 식품기업들은 발제를 통해 농산물 계약재배, 국산 원료 확대, 지역 기반 협업 사례를 소개하며 상생 생태계 확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