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올해부터 녹색 중소·중견기업에 연간 1조5000억원 규모 우대보증을 지원하고 탄소대응역량 강화도 병행하기로 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이 밝히고 “중소·중견기업이 담보 없이 기술력만으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기후위기는 우리 경제에 글로벌 탄소 무역규제라는 위기와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의 기회를 함께 제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탄소세 도입 가능성이 커지면서 우리 기업들을 둘러싼 대외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기후위기와 보호무역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경제성을 보유한 파괴적 혁신 기술 즉, 기후테크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환경부는 기후테크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지난해 기준 약 7조원 규모 자금을 채권, 융자 등의 형태로 공급했다고 소개했다.
다만 현장 확인 결과, 우수한 기술에도 담보력 부족으로 녹색금융 지원을 받기 어렵다는 창업기업과 중소기업 목소리가 있었다고 했다.
이런 요구를 반영해 기후테크 등 녹색경제 활동을 하는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과 저탄소 전환을 견인하는 범정부 녹색전환보증 추진 방안을 마련했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녹색 중소·중견기업에 올해부터 연간 1조5000억원 규모 우대보증을 지원하고 탄소 대응역량도 강화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온실가스 감축 등 녹색경제활동을 하는 중소·중견기업이 담보가 없어도 기술력만으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한다.
중소·중견기업 탄소 무역규제 대응 역량을 키우기 위해 탄소 관리체계 구축, 탄소 저감 제품 설계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도 함께 한다.
이를 통해 지원 대상기업의 연 14% 매출 성장, 8% 고용 증가 효과와 산업 부문 온실가스 연간 배출량 0.25%에 달하는 탄소감축 효과를 기대한다.
김 장관은 “환경부는 기후변화 대응 주무부처로서 탄소중립 이행과 기후테크 산업 성장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