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갈수록 진화하는 이메일 해킹, 위조계약서 등 무역사기 수법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대응이 강화되고 있다.
KOTRA는 18일 한국무역보험공사와 함께 ‘무역사기 예방 및 대응 설명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법무부와 경찰청도 참여해 국내 기업의 안전한 수출거래와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을 공유했다. 범정부 차원의 무역사기 예방 합동 설명회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가 두 번째다. 현장에는 93개 기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설명회는 ‘예방’과 ‘대응’ 두 세션으로 진행됐다. 첫 세션에서는 최신 사기 유형과 차단 방법을 소개하고, 수입자 신용조사 서비스와 사기 예방을 위한 계약서 작성 방법 등 실무에 필요한 예방 방안이 함께 제시됐다. 이어 열린 두 번째 세션에서는 무역사기 발생 시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법률지원제도, 미수채권 회수 대행, 신고 절차가 안내돼 대응 역량 강화를 지원했다.
무역사기 수법이 이메일 해킹처럼 교묘해지고, 조직적으로 변하며 선제 대응이 중요해지고 있다. KOTRA는 지난해 무역보험공사·경찰청과 함께 ‘무역사기 예방 및 대응 매뉴얼’을 발간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최신 사례와 대응 지침을 반영한 개정판을 배포했다. 매뉴얼은 기업들이 현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을 예방하고 대응하는 실질적 지침서로 활용되고 있다. 또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와 협업해 ‘무역사기 예방 및 사례’ 주제 콘텐츠를 제작하여 보다 많은 기업들에게 무역사기에 대해 알렸다.
이지형 KOTRA 부사장 겸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무역사기는 피해가 발생하면 사후 구제가 쉽지 않다”며 “의심되는 상황이 생기면 KOTRA 무역사기 상담을 받거나 해외무역관을 통해 수입업체 신뢰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도 유관기관과 협력해 진화하는 무역사기에 신속히 대응하고 안전한 거래 환경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