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평균 온도 상승 1.5℃ 제한 시, 전 세계 농경지 12.8% 줄어

2025-04-02

KAIST-베이징 사범대 공동 연구팀, 연구결과 발표

농경지 감소 81%가 개발도상국 몰릴 것이라 분석

연구팀, 탄소중립 이루면서 식량 안보 노력도 강조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1.5℃ 이내로 제한할 경우 전 세계 농경지 면적이 약 12.8% 줄어들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농경지 감소의 81%가 개발도상국에 몰릴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해원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교수와 페이차오 가오 베이징 사범대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팀이 파리협정의 1.5℃ 목표 달성이 전 세계 농경지와 식량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2일 밝혔다.

연구팀은 1.5℃ 목표 달성을 위한 기후 정책이 전 세계 농경지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분석했다. 5㎢ 단위로 전 세계 토지 변화를 예측했고 정밀하게 분석했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1.5℃ 시나리오에서 농경지가 오히려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으나, 연구팀은 기후 정책이 분야 간에 미치는 영향과 토지 이용 강도를 함께 고려하면 전 세계 농경지가 12.8%가량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남미는 24%나 감소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또 전체 농경지 감소의 81%가 개발도상국에 몰릴 것으로 분석됐다.

더 큰 문제는 주요 식량 수출국의 수출 능력이 12.6% 줄어들어 식량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들의 식량 안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식량 생산 대국인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농산물 수출 능력이 각각 10%, 25%, 4%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해원 교수는 “전 세계적 탈탄소화 전략을 세울 때는 여러 분야의 지속가능성을 두루 고려해야 한다”며 “온실가스 감축에만 집중한 나머지 지구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이라는 더 큰 맥락을 보지 못하면 의도치 않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개발도상국은 농경지가 줄어들고 수입 의존도는 높아지는 이중고를 겪을 수 있어, 탄소중립을 이루면서도 식량 안보를 지키기 위한 국제 협력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