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법 구금·고문 자행 ‘악명’…원형 보존된 유일한 대공분실
공포의 ‘나선형 계단’ 소름…‘박종철 고문 509호’도 그대로
불법 구금과 고문을 자행하고, 간첩 사건을 조작해 독재 정권의 보위 기구로 맹활약한 서울 남영동 옛 대공분실. 중앙정보부와 경찰, 보안사령부가 운영하던 수십개 대공분실 중 원형이 남아 있는 곳은 이곳이 유일하다.
건물이 완공된 지 50년 만인 오는 6월10일, ‘6·10민주항쟁’ 기념일이기도 한 이날 남영동 대공분실이 민주주의 역사를 증언하는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재개관할 예정이다.
개관을 앞두고 지난 20일 기념관을 찾았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곳이 ‘치유의 길’이다. 기념관을 조성하며 새로 지은 신관에서 구관으로 이어지는 좁은 통로다. 옆으로 남영역 플랫폼이 보이고, 5층 조사실의 좁은 창을 빗댄 띠창 사이로 장미꽃 화분이 놓여 있다. 그 너머로 테니스 코트를 조망할 수 있다.
조규연 행정안전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전략기획실장은 이곳을 정치철학자 해나 아렌트가 제시한 ‘악의 평범함’을 보여주는 공간이라고 소개했다. 조 실장은 “이곳 경찰들도 (평범하게) 테니스장에 내려와 체력을 단련하고, 취미활동을 하다 5층 조사실로 가 고문을 가했다”고 말했다.
남영동 대공분실은 당시 내무부 장관 김치열이 발주했고, 당대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를 맡았다. 제자들은 “스승이 알고 그랬을 리 없다”고 하나, 직접 대공분실을 본 사람들은 ‘건축가가 고문 시설로 쓰일 것을 몰랐을 리 없다’고 말한다.
대공분실은 그 자체로 고문을 위한 거대한 장치였다. 연행된 사람은 1층에서 5층 조사실로 곧바로 이어지는 ‘나선형 계단’을 눈이 가려진 채 뱅글뱅글 오르내리는데, 위치 감각이 무력해진다. 어디로 끌려가는지도 모르는 공포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었다고 수많은 고문 피해자는 증언했다.
5층 조사실의 책상과 의자는 설계도대로 자리 잡았고, 모두 바닥에 고정됐다. 천장 등은 자살을 방지하기 위해 모두 철망으로 보호된 형태로 설계됐다. 투신을 막기 위해 창문 폭은 좁게 만들었다.
이날 동행한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은 창문을 바라보면서 “고문을 당하다 죽나, 떨어져 죽나 매한가지라 나도 몇번 뛰어내리려고 머리를 들이받았는데 빠져나갈 수 없었다. 건물 자체를 고문실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도 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이곳에서 40일간 고문을 당했다.
조사실 벽에는 나무로 된 흡음판을 댔다. 저음은 흡수해 조사 과정에서 무슨 말을 하는지 옆방에서 알 수 없지만 고음은 전달해 고문으로 인한 비명이 옆방에 전해진다. 공포감을 주기 위한 장치이다. 조사실 문에는 외시경이 달려 있어 밖에서 안을 감시할 수 있다. 외시경 테두리엔 꽃무늬 같은 장식이 있는데, 쓸데없는 섬세함에 소름이 끼친다.
5층에는 모두 15개의 조사실이 있다. 계단으로 통하는 문은 3개인데, 피의자가 도주하는 걸 막기 위해 조사실 출입문과 똑같이 만들어 위장했다. 조사실 출입문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해 건너편 조사실을 볼 수 없도록 했다.
고 김근태 선생이 고문을 당한 515호에는 영화 <남영동1985> 제작진이 기증한 칠성판(고문 도구)이 있다. 509호는 박종철 열사가 물고문을 받던 중 욕조에 목이 눌려 숨진 곳이다. 경찰은 리모델링을 한다며 다른 조사실을 모두 훼손했으나 이곳만은 박종철 열사 아버지 고 박정기씨를 비롯한 시민사회의 반대로 원형을 보존할 수 있었다.
이 이사장은 “벽면과 바닥 색깔이 완전히 빨갛거나 노래서 고문실에 가면 정신이 혼미해지고, 내가 어디 있는지, 지금 몇시인지도 모르게 구조를 만들었는데, (경찰이) 그걸 아주 훼손했다. 조사실 원형을 복원하기 위해 자료를 계속 찾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화운동기념관은 신관(M1)과 대공분실을 복원한 구관(M2), 두 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됐다. 신관은 ‘역사를 마주하는 낮은 시선’이라는 건축적 의미를 담아 지하로 내려가는 동선을 통해 한국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조명한다.
4·19혁명, 5·18민주화운동, 6·10항쟁 등 주요 민주화운동과 학생·노동·언론·종교계·여성 등 다양한 주체의 운동을 대형 미디어 패널과 체험형 콘텐츠로 소개한다. 구관은 나선형 계단과 조사실 등 공간이 좁아 사전 예약제로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