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권에 생산적 금융과 더불어 기후위기 대응에 나서는 기업들의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데 힘써달라고 강조하고 나섰다.

금감원은 11일 이화여자대학교와 이대 ECC 이삼봉홀에서 'Next-Gen Climate Risk Management with AI and Tech'을 주제로 기후리스크 관리 관련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콘퍼런스에는 국내외 금융감독당국(한국, 프랑스), 기상청, 금융회사(HSBC, ING, MUFG) 및 연구기관(무디스, 블룸버그) 등이 모여 저탄소 전환을 위한 금융감독정책, 금융회사 경영전략, 시장 발전 등의 현황을 공유하고, 미래 대응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원장은 "새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중요한 추진전략으로 삼고 있다"며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인공지능(AI) 확산으로 증가하는 전력수요는 신재생에너지로 충족시킴으로써 우리 경제는 기술 혁신과 신산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 기회를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탄소중립기본법'은 정의로운 전환 원칙에 따라 기후위기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이는 저탄소 전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일자리를 잃는 등의 피해를 입은 사회 구성원들을 지켜야 함을 의미한다"며 "따라서 금융권도 기후위기 대응과정에서 생산적 부문에 대한 자금 공급 뿐만 아니라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경감시키는 데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 원장은 "단기 성과가 더디더라도 중장기적으로 탄소 저감에 기여하는 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전환금융에 대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며 "각 금융사들도 고탄소 산업의 전환 수요에 부응해 자금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지혜와 역량을 함께 모아달라"고 밝혔다.
아울러 기후리스크 관리 체계도 강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 원장은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와 농산물·에너지 가격 급등은 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금융회사의 대출·투자 손실을 확대해 금융시장 안정성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금융회사도 전사적 기후리스크 관리체계를 공고히 해 경영활동에 내재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성장은 정부, 금융, 기업, 지역사회가 서로를 신뢰하며 협력할 때 가능하다"며 "금융권이 사회와 금융시장을 잇는 매개가 돼 필요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향숙 이화여대 총장은 환영사를 통해 "포용적 혁신으로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이화의 비전과 맞닿아 있다"며 "기후위기 대응은 학계·산업계·정부·시민 모두의 협력이 필요한 과제라며, 이번 콘퍼런스가 기후리스크 관리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콘퍼런스 참석자들은 AI 기술 등을 활용한 기후리스크 감독, 분석 및 관리 사례와 기후 시나리오 생성 및 글로벌 에너지 시장 동향 등 다양한 기후위기 대응 및 에너지 전환 관련 이슈를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