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성장펀드 보고대회서 산업계·금융권 '금산분리 규제 완화' 목소리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제안...진옥동 회장도 '공감'
'될성부른 나무' 대기업이 찍으면 '투자 활성화' 선순환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셀트리온이 5000만원을 투자하면 은행은 아마 5억원을 (투자)할 것입니다."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10일 서울 마포구 프런트원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에서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에 대한 금산분리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진행된 이날 국민보고대회 현장에서는 기업인들이 직접 국민성장펀드 운영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특히 벤처 투자 활성화를 위해 금산분리 규제를 완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산업계와 금융권에서 나왔다. 현행 금산분리 규제를 더욱 완화해 대기업의 투자를 활성화하자는 제안이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박현주 회장과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5000억원 상당의 펀드를 운영하고 있는데 규제를 완화해주면 펀드 규모를 1조원까지 키울 수 있다"며 "대기업이 후배 기업을 키우는 것이 중요한 데 제가 투자하면 (스타트업에) 크레딧이 생기고 다른 사람의 자금이 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행 금산분리 규제에 대기업들이 악용하지 못하는 안전장치를 걸면 된다"며 "기업, 금융기관, 정부가 같이 후배를 키워서 새로 시작하는 출발점이 됐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은행이 담보위주의 영업을 해온 원인은 선구안이 없기 때문이다"라며 서정진 회장의 제안에 공감의 뜻을 표했다.
진 회장은 "기업형 벤처캐피털(CVC)과 금산분리 규제를 묶어둔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며 "이것을 풀어준다면 셀트리온이 5000만원 투자하면 은행은 아마 5억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은행은 (기업만큼) 선구안이 없기 때문에 이점을 개선해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금산분리 규제는 산업자본(일반기업)이 금융회사(은행, 보험사 등)를 지배하지 못하도록 막는 규제다. 기업이 은행을 소유하거나 은행이 기업을 계열사로 두는 것을 못하게 한 것이다.
해당 규제의 일환으로 대기업이 직접 기업형 벤처캐피털(CVC)를 만들어 운영하는 펀드의 허들이 높게 설정돼 있다. 기업 자기자본 위주의 투자만 허용 되고 계열사 투자는 금지되는 등의 한계로 투자 규모가 제한된 상황이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