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 한국투자증권이 7일 LG이노텍에 대해 어려운 대외여건에도 불구하고 올해 1분기 깜짝실적 기대감이 높다고 제시했다. 다만 향후 성장동력 강화를 위해 대형고객사 확보가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2만원을 유지했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LG이노텍의 예상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5.8% 증가한 4조5840억원, 영업이익은 25.9% 감소한 1304억원으로 예상된다.
박상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당초 예상치 대비 영업이익 추정치를 31.6% 상향조정했는데 우호적인 환율 효과도 있지만 주된 이유는 미국 관세 발효 전 아이폰을 미국에 미리 선적하려는 북미 고객사의 카메라 모듈 주문량 증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반도체 분석 및 시장 조사업체 테크인사이츠에 따르면 지난 1~2월 누적 아이폰 판매량(Sell-through)은 전년 대비 9.1% 줄었지만 출하량(Sell-in)은 2.0% 감소에 그쳤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런 가운데 박 연구원은 LG이노텍이 지난 1분기 실적 방어에 성공했지만 대외시장 상황은 녹록지않다는 의견을 내놨다. 그나마 아이폰 경쟁제품이 생산되는 한국과 베트남 관세율이 높게 책정된 것을 호재로 봤다.
그는 "중국 지역내 경쟁 심화, 인공지능(AI) 기술 경쟁력 열위 등으로 아이폰 판매 여건은 여전히 불리하다"며 "특히 고가의 프로 계열 판매가 부진한데 고부가가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프로·프로맥스 부진은 LG이노텍 실적에 특히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아이폰 경쟁 제품이 생산되는 한국, 베트남 등지의 미국 관세율이 예상보다 높게 결정된 점이 호재"라며 "스마트폰 판매가격 인상이 없다는 전제 하에 관세로 인한 수익성 훼손은 제품 확판을 위한 경쟁사 보조금 축소 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현재 LG이노텍의 미래 성장동력이 불투명한 점을 들어 대형 고객사 확보가 향후 관건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박 연구원은 "아이폰 판매 둔화, 카메라 사양 정체, 중국 경쟁사 진입 등의 우려도 우려지만 가장 큰 문제는 향후 성장 동력이 명확히 보이지 않는 것"이라며 "멀티플 리레이팅(주가 배수 재평가)를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 응용처(광학솔루션) 확대와 FC-BGA(기판소재) 분야에서 대형 고객사 확보 등이 관측돼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