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화교가 북한 가족 찾아가 전달
안전부 간부에 뇌물 주고 주소 파악도
"드라마·영화 이어 제2의 한류로 등장"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최근 북한 내에서 탈북민이나 실향민이 재북 가족에게 보내는 돈을 전달해주는 브로커의 활동이 부쩍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내부사정에 밝은 대북 소식통은 6일 뉴스핌과의 통화에서 "대북송금을 북측 가족에게 전달하는 일은 북한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중국 화교 출신 브로커에 의해 주로 이뤄진다"며 "송금액의 약 40%는 남북한과 중국 측 브로커가 수수료 명목으로 챙기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전했다.

과거 20~30% 수준이던 수수료가 뛴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국경통제에 이어 최근에는 북중 접경지역의 경계와 감시‧단속이 크게 강화돼 위험이 커진 때문이라고 소식통은 말했다.
브로커 활동을 하고 있는 국내 정착 탈북민은 "언뜻보면 많은 돈을 떼간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위험부담이나 송금 전달을 위해 관여하는 사람들의 숫자 등을 감안하면 불가피한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40%의 브로커 비용은 돈주(전주)인 중국 화교가 20%를 갖고, 주로 탈북민 출신인 한국 측 브로커와 일명 '피스톤'으로 불리는 북한 내 브로커가 각각 10%를 나눠가지는 식으로 분배가 이뤄진다.
한국에 정착한 탈북민이 북한 가족의 주소를 알고 있어 송금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예 브로커들이 찾아내 전달해주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 중국 돈 1만 위안(한화 약200만원)을 서울에서 보내면 수수료를 떼고 남은 60%에 해당하는 120만원을 전달하고, 사람을 찾는데 들어간 비용으로 우리 돈 30만원을 따로 받는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소식통은 "우리의 경찰 격인 사회안전성 간부에게 뇌물을 주고 전산망을 통해 재북 가족의 거주지를 알아내 전달하는 경우까지 있다"고 말했다.
탈북민 1호 박사인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이사장은 "북중 접경에서 내륙지역인 황해북도 신계군까지 택시를 이용해 브로커가 돈을 전달하기 위해 찾아간 경우까지 있는 것으로 북한 내부 소식통으로부터 들었다"며 "북한 당국이 사실상 묵인하지 않고서는 이런 일이 벌어지기 어렵다"고 밝혔다.
안 이사장에 따르면 한국에서 송금한 돈을 북한 현지에서 카드를 이용해 출금한 사례까지 전해지고 있고, 북한 휴대폰과 중국 휴대폰을 맞대는 형태로 한국의 탈북민과 재북가족이 통화를 한 경우도 있다.
또 이 과정에서 실제 돈이 전달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북한 가족이 받은 돈을 헤아리는 모습을 동영상에 담아 송금자에게 보내는 일도 늘고 있다고 한다.
안 이사장은 "한류 드라마‧영화 등에 이어 대북송금이 북한 체제를 변화시키는 제2의 한류로 자리하고 있다"며 "단속을 해야 할 사회안전성이나 보위부 간부들까지 뇌물과 상납 구조로 이를 묵인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분석했다.

yjlee@newspim.com
![[단독] 한국 오려던 탈북민도 캄보디아에 유인·납치..."정부 적극 나서야"](https://img.newspim.com/news/2025/11/05/2511051056334820_w.jpg)



![PF 대출에 억대 뒷돈 받은 새마을금고 지점장 등 기소 [AI 프리즘*금융상품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7/2H0D14RFCI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