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인류는 역사상 가장 풍족하고 편리한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손가락만 몇 번 움직이면 집 앞으로 음식이 배달되고, 다양한 동영상 덕분에 지루할 틈이 없죠. 하지만 안락한 삶의 이면에는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습니다. 비만·당뇨·심장병 같은 성인병이 급증했고, 우울증·불안·번아웃을 호소하는 사람도 늘었습니다. 이런 세상에 살아남아 행복해지려면 어떤 힘을 키워야 할까요? 미래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양육자가 물려줘야 할 가치는 뭘까요? 헬로 페어런츠(hello! Parents)가 ‘가치 육아’를 주제로 한 달간 4권의 책을 읽어드립니다. 첫 번째 책은 안락함의 함정을 경고하는 마이클 이스터의『편안함의 습격』입니다.

📖『편안함의 습격』은 어떤 책인가
저자 마이클 이스터는 미국의 건강 전문 저널리스트입니다. 네바다주립대 저널리즘학 교수인 동시에 탐험가죠. 한때 알코올 중독자였던 그는 어렵게 술을 끊은 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방법을 찾아 헤맸습니다. 그러다 ‘오지 사냥꾼’을 취재하면서 답을 찾게 됩니다. 건강과 행복에 이르는 길은 역설적이게도 우리가 어떻게든 제거하려 하는 ‘불편함’에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거죠. 안락한 도시를 벗어나 네바다 산맥의 야생을 온몸으로 접한 경험이 그에게 새로운 활력을 안겨준 겁니다.
급기야 그는 수년 뒤 오지 사냥꾼과 함께 33일간 알래스카 툰드라로 순록 사냥을 떠납니다. 북극의 추위와 고독, 허기와 피로를 견뎌내고 광활한 협곡에서 순록 떼를 뒤쫓으며 현대인이 잃어버린 ‘야생의 감각’을 되찾았죠. 이후 그는 두 가지 문제의 답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현대인은 편안함을 대가로 무엇을 잃었나?’ ‘바쁜 일상 속에서도 살아 있다는 느낌, 삶의 감각을 되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책에는 저자의 생생한 사냥기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인터뷰, 연구가 교차돼 실려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류가 극복하려 했던 불편함이 실은 인간에게 엄청난 혜택을 준다는 점을 역설합니다. 저자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편한 게 최고’라고 여겼던 생각이 분명 달라질 겁니다.

Intro 『편안함의 습격』은 어떤 책인가
Part 1 오늘의 편리함, 내일의 불편함이 된다
Part 2 고생해야 강해진다
Part 3 불편함을 실천하는 5가지 방법
Outro hello! Parents 읽기 가이드
📌오늘의 편안함, 내일의 불편함 된다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이 있다면 사람들은 뭘 선택할까요? 한 실험 결과, 계단을 이용한 사람은 100명 중 단 2명에 불과했습니다. 계단은 한때 높은 곳에 오르기 위한 편리한 수단이었어요. 하지만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의 등장으로 찬밥 신세가 됐죠.
인간은 본능적으로 편안함을 추구합니다. 그런 본능이 문명의 발전을 이끌어 온 원동력이기도 하죠. 하지만 편안함엔 함정이 있습니다. 새로운 편안함에 적응하고 나면 사람들은 이제 예전만큼 편안함을 느끼지 못합니다. 계단만 봐도 그렇잖아요. 오늘의 편안함이 내일은 불편함이 되는 겁니다. 그 결과 분명 예전보다 편리해졌는데도 자꾸 불만은 늘어갑니다. 사람들이 편안하다고 느끼는 ‘컴포트 존(Comfort Zone)’은 점점 더 좁아지고 있고요.
![[북스&] ‘88만원 세대’ 작가의 도서관 이야기](https://newsimg.sedaily.com/2025/10/31/2GZE62K4NM_1.jpg)
![[ON 선데이] 광장을 꿈꾼 선비와 텍스트 힙스터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2511/01/88882b7d-e029-413e-92e4-fda86bbc21b3.jpg)
!['불교 일타강사' 원영스님, 화가 치밀어 오를 때 떠올린 한 문장[BOOK]](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31/64e6a8e3-365f-444e-a69f-146f9750abdc.jpg)
![[북스&]"내년 트렌드는 랜덤 구독·소소 소비"](https://newsimg.sedaily.com/2025/10/31/2GZE6BMXC3_1.jpg)

![[책꽂이] 도파민 가족 外](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2511/01/b66ae5d7-636a-41e7-9433-96c59de58e37.jpg)
![[人사이트] 전국민 AI교양서 펴낸 임춘성 교수 “AI는 월등해진 역량을 연결하는 도구”](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30/news-p.v1.20251030.c83d55e6028d450f88f0ec49e24ca0f1_P1.jpg)
![[북스&] 설탕은 毒이 아니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0/31/2GZE666UHG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