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국내외 작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문학의 본질과 시대적 의미를 탐구하는 '2025 서울국제작가축제'가 막을 올린다.
11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프레이저 플레이스 남대문에서는 '2025 서울국제작가축제'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문학을 매개로 국내외 작가들이 교류하고 자들과 소통하는 장을 만들고자 마련돼 올해로 14회 째를 맞는 이번 작가축제는 '보 이 는 것 보 다( )'를 주제로 8개국에서 초청된 10명의 해외 작가와 19명의 한국 작가가 함께한다.
전수용 한국문학번역원장은 "주제 '보 이 는 것 보 다( )'를 설명하자면, 빈 괄호를 채워 넣으면 된다. 이를 테면 보이는 것보다 복잡하다, 보이는 것보다 대단하다 등이다. 이번 축제에 출연할 작가들이 이 괄호를 채워 넣을 것이다. 넘쳐나는 이미지와 정보 속 우리가 놓치기 쉬운 본질, 진실과 감정을 문학을 통해 성찰하자는 뜻을 담고 있다. 문학은 가시적인 것 넘어 세계를 비추는 등불, 서로 다른 시선과 경험을 엮어내는 힘이다"라고 설명했다.
남승원 기획위원은 "인간의 감각 중 시각은 정보를 받아드리는 가장 큰 부분이다. 그래서 우리는 예로부터 시각에 의존하는 것을 경계해왔다. 현대사회에 영상이 나오고 철강, 유리로 이뤄진 건물이 현실을 뒤덮게됐다. 20세기부터 엔터테인먼트적 기능이 강조돼 온 것이다. 우리는 쇼윈도 안에 들어가있는 상품화 시대를 살고 있으며 보여지기를 원하는 것에 이르렀다. 문학의 본질을 생각하면서,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중요성에 공감을 하게 됐다. 문학적 상상력으로 의미를 채움으로써 문학의 본질, 타인과 다른 세계와 소통하고싶은 맘을 담아 기획했다"고 밝혔다.
박연준 위원은 "이번 축제를 크게 두 가지 코너로 나눠서 준비했다. 하나는 '작가 마주보다'이다. 국내 작가 한분, 해외 작가 한분이 대담 형식으로 작품 세계를 심도있게 나누는 자리다. 또 국내외 작가 세명과 사회자의 가벼운 형식인 '작가들의 수다'가 있다. 작가들의 수다는 다양한 국적을 지닌 작가들이 동시대적 주제에 대해 자유롭고 깊이있는 토론 형식의 코다. 가능한 다양한 국적, 다양한 세대의 작가를 초청했다. '글을 핸드폰으로만 쓸 수 있다면'이라는 주제로 MZ 세대들은 어떤 형식으로 글을 쓰고 문학을 바라보고 있는지 생각을 들여다보는 자리가 준비돼 있다"고 말했다.

한국 현대문학의 살아있는 전설 현기영과 중국 문학의 거장 옌롄커는 대주제를 논하는 개막 대담으로 화려하게 축제의 포문을 연다.
현기영 작가는 "내 나이가 팔십넷(84)이다. 이 축제는 젊은 작가의 마당인데 나를 초청해줘서 기분이 좋다. 14회를 맞이 했는데 국내 작가를 해외에 소개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으며 한강의 노벨상 수상에도 뒷받침이 됐다고 생각한다. 해외 작가와 국내 작가가 한 자리에 모여 만나는 것은 국경을 넘어 서로 고민을 말하는 자리다. 겉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가짜일 수도 있고 진실을 극히 일부분일 수도 있다. '내면이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게 문학이다. 보이지 않는 것을 좇는 게 중요하다. 그런 이야기를 옌롄커 작가와 대담 할 것"이라고 했다.
옌롄커 작가는 "축제에 초대해주셔서 감사하다. 이 축제는 아시아 문학이 세계로 뻗어감에 있어 추진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동아시아에서 서울 문학이 앞서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또 현기영 작가와의 만남에도 감사하다. 내가 젊어진 것 같다"며 "향후에 선생님 앞에 나타날 수 있는 기회가 많았으면 좋겠다"고 웃으며 말했다.
이어 "늦었지만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다시 한 번 축하한다. 한강 수상은 한국 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자랑이라고 생각한다. 아시아 문학은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의 노력도 필요하다. 한국 영화는 아시아에서 최고다. 문학도 최고봉에 서서 이끌어나가길 바란다"고 전했다.

옌롄커 작가는 "이번 주제는 시의 적절하다. 문학과 예술의 본질로 돌아와서 본다면 문학이라는 것은 보이는 것 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도 있다. 진실 아래 가려진 진실, 진실되지 않은 진실도 있다. 그리고 진실을 초월하는 진실도 있다. 그렇기 떄문에 이 주제는 굉장히 좋다. 문학이 우리에게 말하고 싶은 것을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작가의 경험, 인류의 경험은 매우 제한적이다. 하지만 작가가 써내는 진실은 무한적이라고 생각한다. '보이는 것보다'가 바로 그렇지 않을까. 유한한 진실을 통해 무한한 진실을 써내야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현기영 작가와 대담에서 5.18 사건이 어떤 역사적 의미를 지닌 사건인지 질문 하고 싶다. 중국에서 '암흑의 영혼'이라는 한국 작품을 본 적 있다. 단층 문화라고 하더라. 오래전 작품인데 많은 감동을 받았다. 작품을 통해 어떤 민족이든 암흑, 상처가 있다는 것을 알게됐다. 한국은 암흑기라던가 상처를 작가들이 대면할 수 있는 게 부럽다. 죽중은 직면하기 어려운 문제들도 있다. 대담을 통해 향후에 어떻게 직면해야하는지 경험을 배우고 싶다"고 밝혔다.
박연준 위원은 "'보 이 는 것 보 다( )'는 중위적으로 해석하길 원했다. '보다'라는 비교급, '보이는 것을 직시'한다는 두 가지 의미를 같이 담고 싶어 음절을 띄워놓고 띄어쓰기를 했다"고 밝혔다.
'2025 서울국제작가축제'는 12~17일 서울 인사동 복합문화공간 그라운드서울에서 열린다.
moonddo00@newspim.com